•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식민 여성성장소설의 젠더지리 —박화성의 『북국의 여명』과 『벼랑에 피는 꽃』을 중심으로 (The Gender Geography of Women’s Growth Novels during the Colonial and Post-Colonial Periods — A Study of Park Hwa-seong’s Dawn of the North Country and A Flower on a Cliff)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2.12
30P 미리보기
포스트/식민 여성성장소설의 젠더지리 —박화성의 『북국의 여명』과 『벼랑에 피는 꽃』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57호 / 154 ~ 183페이지
    · 저자명 : 서승희

    초록

    『북국의 여명』과 『벼랑에 피는 꽃』은 박화성의 자전적 이력을 재구성한 신문연재소설로서 각각 1935년, 1957년에 발표되었다. 두 소설은 한국 사회에 병존하는 전근대적 남녀 차별과 근대적 공사 이분법, 그리고 이에 따른 공간 구획 및 젠더 배분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는 여성성장소설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북국의 여명』은 사회주의 이념의 정치성에 공명하던 식민지 시기 박화성의 입장에 근거하고 있고, 『벼랑에 피는 꽃』은 이념과 사상의 다양성을 탈색한 식민 기억과 민족주의의 지평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도 크다. 이 글에서는 젠더 역학의 변동에 따른 공간 배치에 주목하는 젠더지리학의 방법론을 참조하며 소설을 분석했다. 『북국의 여명』이 목포, 도쿄, 경성이라는 세 공간, 그리고 ‘북국’이라는 장소성을 중심에 두고 있다면, 『벼랑에 피는 꽃』은 목포와 경성의 공간적 입지를 대폭 축소하는 대신 경성–서울에 중요성을 부여했다. 전자는 학문에서 사상으로, 자매애에서 동지애로 전환되는 이동의 궤적을 그려냈으며, 여성의 몸과 가정, 돌봄과 양육에 대한 고정관념을 해체하며 여성의 사상적 실천을 새롭게 조명했다. 후자는 식민지 시기 수난과 저항의 역사에 비추어 인물과 공간을 배치하는 한편, 엘리트 여성 교육자의 성공을 국가 발전의 필수조건으로 형상화했다. 두 소설은 식민지 근대 극복을 위한 탈향–유학의 여정을 그려내는 한국근대성장소설의 패턴을 반복하면서도, 주인공의 젠더에서 비롯되는 모순과 갈등, 저항과 봉합의 국면들을 상이하게 드러낸다는 점에서 여성성장소설의 다양한 문법을 살펴볼 수 있게 한다.

    영어초록

    Dawn of the North Country and A Flower on a Cliff are novels that were first serialized in newspapers,and they both reinterpret the biographical history of Park Hwa-seong. They were first published in 1935 and 1957, respectively. Both novels are so-called “women’s growth novels” that make critical interventions into pre-modern discrimination between men and women, the modern dichotomy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and the resulting division of space and gender distribution in Korean society. These novels, however, also contain many differences. Dawn of the North Country is grounded in Park Hwa-seong’s political beliefs, which resembled the socialist ideology o fthe colonial period. In contrast, A Flower on a Cliff exists on the horizon of colonial memories and nationalism, which had eradicated the diversity of ideologies and ideas. This study sets out to analyze the two novels by employingthe methodology of gender geography to focus on spatial arrangements in the context of changing gender dynamics. While Dawn of the North Country is centered around the cities of Mokpo, Tokyo, and Gyeongseong, as well as the sense of place of the “North Country,” A Flower on a Cliff attaches importance to Gyeongseong–Seoul while considerably diminishing the spatial prominence of Mokpo and Gyeongseong. The former novel moves along a trajectory from literature to ideology and from sisterhood to comradeship while dismantling the stereotypes of women’s bodies, families, caring, and upbringing; in this way, it sheds new light on women’s ideological practices. In the latter novel, the characters and spaces are placed within the history of hardship and resistance of the colonial period and embody the success of elite women educators as an essential condition of national development. The two novels offer a chance for readers to examine the diverse grammar of women’s growth novels by revealing the aspects of contradictions, conflicts, resistance, and repair derived from the gender of the main characters in different ways while repeating the patterns of modern Korean growth novels depicting the journey of leaving home and going overseas for study to overcome colonial moder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