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라벨 친환경 패키지디자인을 활용과 탄산음료 브랜드인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 중심으로 - (A Study on Label-free Awareness of Eco-friendly Packaging Design on Carbonated Beverages- Focused on Brand Awareness of Korean Consumers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03
14P 미리보기
무라벨 친환경 패키지디자인을 활용과 탄산음료 브랜드인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21권 / 1호 / 225 ~ 238페이지
    · 저자명 : 왕의난, 최원재

    초록

    플라스틱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플라스틱 오염은 전 세계적인 문제가 되었다. 그 중 플라스틱 포장은 플라스틱 폐기물의 약 42%를 차지한다. 플라스틱 페트병은 탄산음료 포장에 자주 사용된다. 페트병을 보다 쉽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많은 탄산음료 브랜드는 친환경 패키지디자인과 무라벨 페트병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생산 및 판매되고 있는 탄산음료의 패키지 디자인이 라벨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한국산 탄산음료를 대상으로 하여 소비자들이 무라벨 탄산음료 브랜드를 어떻게 구분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무라벨 탄산음료의 브랜드 인지 디자인적 요소를 찾아내고자 한다. 첫째, 국내 탄산음료의 패키지 디자인을 무라벨 배경에서 분석하였다. 둘째, 무라벨 탄산음료의 3요소(병의 형태, 마개 색상, 음료 색상)에 대한 소비자 브랜드 인지도 조사 및 분석. 셋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무라벨 탄산음료의 페트병 디자인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무라벨 탄산음료는 전 연령대 소비자의 인식을 어느 정도 저하시킨다. 무라벨 경우 소비자는 음료의 색상에 더 민감하며, 음료의 색상으로 대략적인 브랜드를 판단하게 된다. 포장에 있어 소비자들은 병의 형태보다 병마개의 색상, 즉 브랜드 색상을 더 많이 인지한다.

    영어초록

    With the widespread use of plastics, plastic pollution has become a worldwide problem. Among them, plastic packaging accounts for about 42% of waste plastics. Plastic PET bottles are often used in carbonated beverage packaging. To make PET bottles easier to recycle, many carbonated drink brands use eco-friendly packaging and label-free PET bottles. Therefore, this study takes Korean carbonated beverages as the object, assuming that the packaging design of carbonated beverages currently being produced and sold does not use labels, and investigates how consumers distinguish carbonated beverage brands without labels. And on this basis, we try to find out the design elements of the brand identity of unlabeled carbonated drinks. First, the packaging design of carbonated beverages in Korea is analyzed in the context of no label. Second, the survey and analysis of consumers' awareness of the three elements of unlabeled carbonated beverages (bottle shape, cork, and beverage color).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e plastic bottle design and improvement plan of the label-free carbonated beverage was propo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unlabeled carbonated beverages will cause a decline in the awareness of consumers of all ages to a certain extent. In the case of no label, consumers are more sensitive to the color of the beverage, and judge the approximate brand by the color of the beverage. In terms of packaging, consumers are more aware of the color of the bottle cap, that is, the brand color, than the shape of the bott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