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벨직신앙고백서의 역사적 배경과 37조에 담긴 종말론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Belgic Confession and Its Eschatology Expressed in the Article 37.)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5.12
39P 미리보기
벨직신앙고백서의 역사적 배경과 37조에 담긴 종말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개혁논총 / 36권 / 105 ~ 143페이지
    · 저자명 : 이상웅

    초록

    벨직신앙고백서(Confessio Belgica)는 순교자 귀도 드 브레에 의해서 작성되었으며, 네덜란드 개혁교회에서 공인한“일치를 위한 세 신앙고백서”중 하나이다. 드 브레는 프랑스신앙고백서(1559)와 베자의 신앙고백(1560)를 참조하여 저지대지역에 살고 있던 동료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본 신앙고백서를 작성했다.
    본고에서 논자는 벨직신앙고백서의 역사적 배경과 37조에 담긴 종말론에대해서 논구했다. 첫째로, 본 신앙고백서의 저자문제와 역사적 배경 문제를 다루었다(2). 이 신앙고백서의 주요 저자는 귀도 드 브레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수용되어 왔다. 그는 동료 그리스도인들 뿐 아니라 신성로마제국의 펠리페2세에게 명료하고 간단한 신앙고백서를 제출함으로 개혁파 신앙의 합법성을인정받기를 희망했다. 3절에서는 벨직신앙고백서의 37조 번역 시안을 제시해보았다. 본 신앙고백서는 1561년에 공표되었지만, 안트베르프 노회(1566)로부터 도르트총회 (1618-1619)에 이르기까지 수정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따라서여러 원본들과 여러 번역서들을 대조하여 새로운 번역 시안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이어서 논자는 본 신앙고백서에서 제시하는 종말론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4). 벨직신앙고백서는 최후심판과 신불신간에 미치는 결과들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를 통해서 본신앙고백서는 온갖 종류의 고난가운데신음하고 있던 신자들에게 큰 위로를 제공하고, 박해자들에게는 엄중한 경고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Belgic Confession(Confessio Belgica) was written by Guido de Brès the martyr, and is one of the ‘Three Forms of Unity’ for the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The Author had intended the confession for the Christians in the Low Countries with references to French Confession (1559) and Beza’s Confession (1560).
    In this paper, I examined especially on eschatological contents contained in article 37. First of all, I researched on the author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is confession (Section 2).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main author of Belgic Confession is Guido de Brès. He had made it so that fellow Christians could obtain a clear and brief confession and Filippe II, the emperor of the Holy Roman Empire, would receive an apology for legality of the Reformed faith. In the third section, I proposed the tentative translation of article 37 of Belgic Confession. Belgic Confession was openly publicized in 1561.
    However, it had gone through extended revising processes from the Synod of Antwerp (1566) to the Synod of Dordt (1618-1619). Thus,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newly made translation grounded on the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originals and possibly with some other translations.
    Then, I examined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eschatology provided in this confession (Section 4). Belgic Confession highlighted the Last Judgment and its consequences for both believers and unbelievers. By doing so, Belgic Confession provides great comforts for the believers under all sorts of sufferings and gives a solemn warning to the persecu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혁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