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필리오크베(Filioque) 논쟁, 그 쟁점과 해결방안의 모색 (An „Filioque-Streit: der Streitpunkt und der Lösungsvorschlag“)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3.02
35P 미리보기
필리오크베(Filioque) 논쟁, 그 쟁점과 해결방안의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37권 / 185 ~ 219페이지
    · 저자명 : 이동영

    초록

    필리오크베 논쟁(Filioque-Streit)은 1054년 동방교회와 서방교회를 비극적인 분열로 몰고 간 양교회사이의 유일무이의 논쟁이다. 필리오크베 논쟁의 발단은 원래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381)에 존재하지 않았던 “아들로부터도”, 즉 “필리오크베”라는 라틴어 공식을 서방교회가 동방교회와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신경 원문에 삽입한 사태로부터 촉발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필리오크베 논쟁의 발단과 그것을 둘러싼 동방교회와 서방교회 사이의 그 기나긴 논쟁의 역사를 개관한 후, 이 논쟁의 해결방안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는 것이다. 본 논문은 서방교부 아우구스틴이 등장하기 이전에 성령의 “나오심”에 대한 동방교회와 서방 교회의 공동의 이해방식인 “아들을 통하여”(per filium)를 성령의 “나오심”에 대한 양 교회 사이의 중재의 공식으로 재안한다. 만약 우리는 성령의 나오심에 대한 서방의 공식 “필리오크베”를 “아들로부터도”가 아니라 “아들을 통하여”라고 이해하고 해석한다면, 필리오크베를 둘러싼 동방과 서방사이의 뿌리 깊은 논쟁과 불신은 상당부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서방이 주장하는 필리오크베의 입장을 교조적으로 고집할 경우 우리는 아들에 대한 성령의 주권을 확립할 수가 없게 되는 반면에, 동방이 주장하는 “오직 아버지로 부터만”을 교조적으로 고집할 경우 성령론이 성령신비주의로 전락하는 것을 피할 수가 없게 된다. 중재의 공식 “아들을 통하여”는 아들에 대한 성령의 독자성을 보장해 줄 뿐만 아니라, 성령을 성자와의 관계 속에서 논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그리고 동시에 성령의 사역이 그리스도를 떠난 불건전한 신비주의로 기울어지는 것을 예방해준다. 성부와 성령 그리고 성자와 성령 사이에서 성령의 나오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중재공식들이 오늘날 시도되고 있으나, 그 논의의 기초요 근간이 되는 기본공식은 요한복음 15장 26절에 근간을 둔 “성부로부터 성자를 통한 성령의 나오심“이 되어야만 할 것이다.

    영어초록

    Der Filioque-Streit ist der einzige dogmatische Grund für den Schisma zwischen der östlichen und der westlichen Kirche in 1054. Eigentlich gab es keine Filioqueformel im ursprünlichen Text des Nicaeno-Konstantinopolitanum (381). Die westliche Kirche fütge das Filioque in den Text zu, ohne dies mit der östlichen Kirche zu vereinbaren. Daraus ereignete sich der Filioque-Streit. Das Ziel dieser Aufsatz liegt darin, die lange Geschcihte der Filioque-Kontroverse zwischen den beidne Kirchen zusammenzufassen, und dabei Lösungsansatz kurz zu erwähnen. Dieser Aufsatz richtet seine Aufmerksamkeit auf die gemeinsame Verständnisweise, d.h. „per filium“ für die Hervorgang (processio) des Heiligen Geistes zwischen der östlichen und der westlichen Kirche vor dem Auftritt Augustnis und damit schlägt die "per filium-Formel" als eine Vermittlunlgsformel zwischen den beiden Kirchen vor. Wenn man Filioque nicht als „aus dem Sohn auch“, sondern als „durch den Sohn“ versteht und interpretiert, sind die feurige Kontrovere und das wurzelnde Misstrauen zu lösen. Wenn man nach der abendländischen Auffassung die Filioque-Formel verteidigt, kann man die persönliche Selbstständigkeit des Heiligen Geistes gegenüber dem Sohn nicht feststellen. Umgekehrt: wenn man nach der morgenländischen Auffassung „εκ μονου του πατρος“ (allein aus dem Sohn) verteidigt, kann man nicht vermeiden, dass die Pneumatologie ins Wasser des Mystizismus stürzt. Die Vermittlungsformlel „per filium“ (durch den Sohn) grantiert nicht nur die Selbstständigkeit des Heiligen Geistes gegenüber den Sohn, sondern öffnet auch zugleich den theologischen Denkweg, das Werk des Heiligen Geistes im Verhältnis des Sohnes berücksichtigen zu könn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개혁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