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네수엘라 공동경영의 실천: 인베팔(Invepal)과 인베발(Inveval) 실험의 비교 연구 (The Practice of Co-management in Venezuela: A Comparative Analysis of Invepal and Inveval)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2.09
33P 미리보기
베네수엘라 공동경영의 실천: 인베팔(Invepal)과 인베발(Inveval) 실험의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와 사회 / 95호 / 333 ~ 365페이지
    · 저자명 : 조돈문

    초록

    노동자들이 직장폐쇄에 맞서 투쟁하며 국유화를 요구하는 가운데 차베스는 2005년 초 인베팔과 인베발을 국유화한 다음 공동경영을 실시했다. 공동경영이 21세기 사회주의의 상징으로 부상하며 인베팔과 인베발의 공동경영 실험은 극찬을 받아왔지만 개별 기업들에서 얼마나 명실상부하게 공동경영이 실천되고 있는지에 대한 체계적 분석은 없다. 이 연구의 목표는 공동경영의 실질적 실천 여부를 검토하고 그 동학을 설명하는 것이다.
    인베팔과 인베발은 공동경영 모델의 전형적 사례이며 출범 후 7년 이상 경과했기 때문에 다양한 공동경영 모델들을 실험하며 최적의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지녔다는 점에서 공동경영 실천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인베팔과 인베발은 모두 정부 51%, 노동자 49%의 지분 배분으로 출범했지만, 공동소유에 기초한 공동경영 모델은 도입한지 2년 만에 폐기되었다. 생산설비들이 2년 이상 직장폐쇄 상태로 방치되었던 탓에 정상적인 이윤창출이 어려운 가운데 노동자들은 투자재원 동원의 어려움으로 인해 지분을 포기 혹은 대폭 감축하게 되었던 것이다.
    공동소유경영 모델이 폐기된 뒤, 인베팔에는 정부·경영진과 노동의 갈등 속에서 노동자 배제의 경영방식이 정착된 반면, 인베발의 경우 정부와 노동의 협력 속에서 노동자 통제라는 대안적 공동경영 모델이 실천될 수 있었다. 이는 공동소유경영 모델은 폐기되었지만 공동경영의 목표와 원칙은 여전히 유효하며, 공동경영은 공동소유의 전제 없이도 실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국유기업들 가운데 공동경영 대상을 선택하여 지배·경영권 위임 여부를 결정하는 주체는 정부다. 인베발의 경우 정부는 지배·경영권을 노동자 대표와 공장평의회에 위임하여 공동경영을 실천하도록 한 반면, 인베팔의 경우 그렇게 하지 않았다. 정부의 선택은 해당 기업의 정부 정책에 대한 호응 정도와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 크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베발은 공장평의회 제도에 기초한 노동자 통제를 실시함으로써 사회주의 기업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인베발 모델은 노동자들이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으면서도 집합적으로 경영권을 행사하는 유고슬라비아 자주관리모델과 유사한 것으로서 국가사회주의 기업 모델과 차별화되는 21세기 사회주의의 대안적 기업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As workers had been claiming for nationalization in their struggle against capitalists’ lockouts, Chávez nationalized the firms in dispute and introduced co-management at the beginning of 2005. Although co-management emerged as the symbol of the 21st century socialism, it’s very difficult to find a systematic analysis of how well co-management is being practiced in real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practice of co-management and to explain the dynamics in its process.
    Given that seven years have passed since co-management was launched in Invepal and Inveval as typical cases of co-management, it is time to evaluate the practice of co-management experiments in those two firms. The co-management model based on common ownership of government and workers with the share distribution of 51% and 49% respectively had been scrapped in two years after its introduction. Workers’ shares have been given up or sharply reduced owing to the difficulty for workers to mobilize further financial resources while the firms desperately need new investment to renovate production facilities neglected for more than two years in lockouts.
    With the co-ownership model scrapped, a typical unilateral management model was established with the exclusion of workers in conflict between management and workers in Invepal, while the worker control model, i.e. an alternative model of co-management was established in close cooperation of management and workers in Inveval. This process confirms that the Chávez government still sticks to the co-management principle and co-management could be practiced without co-ownership of government and workers.
    It is the government which determines which one should be converteded into co-management and whether the mandate of governance and management is to be delegated to workers or not. The government delegated the mandate to the factory council and workers’ representatives in Inveval while it did not do so in Invepal. It was indeed that the government made a decision with a serious consideration about the firms’ level of accountability to government policies and the extent of their influence in the market.
    Inveval has demonstrated a typical model of socialist enterprise by conducting worker control based on the system of factory council. The worker control model of Inveval, which resembles the Yugoslavian self-management model, could be called a new transformative management model of the 21st century socialism in contrast to that of the state soc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