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근 북한 환경법의 동향과 시사점 (Latest Trends in North Korea’s environmental law and Implication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4.11
35P 미리보기
최근 북한 환경법의 동향과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법연구 / 36권 / 3호 / 237 ~ 271페이지
    · 저자명 : 한상운

    초록

    북한에서의 환경보호법은 남한과 달리 매체별로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총괄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물론 개별적으로 대기와 폐기물, 수질에 관한 규정이 환경보호법에 규정되어 있지만 토양 등에 관한 직접적 보호규정은 없다. 총칙규정으로서는 사전예방과 환경보호기준, 유해물질 배출 및 수입·생산 금지, 환경실태파악을 위한 통계자료의 구축과 환경경제지표의 신설, 환경인증제도의 실시 등을 규정하고 있다. 매체별로 살펴 보면, 대기환경보호와 관련하여, 환경보호법 및 관련법에서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설치, 배출기준을 초과하는 설비가동금지, 특수기상현상 발생시 운행중지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재생에너지자원의 개발리용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토양환경보호와 관련하여, 환경보호법 이외에도 국토계획법, 산림법, 농업법, 물자원법에서도 다루어지고 있으며 남한과 같이 토양정화 등 토양자체를 관리하고 있는 ‘토양환경보전법’ 같은 개별 환경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셋째, 수질보호와 관련하여, 환경보호법, 공중위생법, 대동강오염방지법, 하천법, 갑문법, 도시경영법 등이 있다. 수자원관리와 관련해서 내각의 하천통제규정, 물자원법 등이 있고, 수질관리와 관련해서는 환경보호법에서 폐수정화시설과 상수도시설 및 먹는 물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넷째, 생태계 등 자연환경 보호와 관련하여 환경보호법 제2장의 ‘자연환경의 보존과 조성’에서 자연환경보전에 관한 사항들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것은 자연환경보전에 관한 사항을 다른 환경보호분야보다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연환경보전의 방법 가운데 일반적으로 보호가치있는 지역을 지정하여 행위제한 등을 통하여 관리하는 방식이 일반적인데 북한에서도 자연보호구와 특별보호구를 지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원시림보호구, 동물보호구, 식물보호구, 명승지보호구, 수산자원보호구 같은 자연보호구와 특별보호구를 내각이 지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09년 제정된 “자연보호구법”은 자연보호구의 설정 등을 통하여 자연환경과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인데, 이 법은 육상과 해양을 구별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규율하고 있다. 다섯째, 폐기물관리와 관련하여 환경보호법이외에 2007년에 제정된 ‘페기페설물취급법’이 있다. 환경보호법에서는 폐기물과 관련하여 처리 및 재활용에 관하여 3개조문을 통하여 단순하게 규정하고 있을 뿐이지만 폐기물에 관한 일반법으로서 ‘페기페설물취급법’에서는 페기페설물의 배출, 보관, 수송, 처리, 지도통제로 구분하여 비교적 구체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일곱째, 북한에서는 국가로 하여금 생활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인민경제의 모든 부문에서 공해현상을 막도록 하며, 가로수와 록지를 많이 조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남한의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과 매우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원림법이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피해에 대한 책임과 관련하여 환경보호법에 근거한 민사법과 손해보상법이 주된 법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다만 특기할 만한 것은 의무자와 보상액을 환경보호감독기관이 정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하튼 북한의 환경법의 분화·발전은 비교적 2000년대 들어와서 두드러지며, 이것은 북한에서의 환경행정의 강화를 의미한다.

    영어초록

    North Korea imposes legal controls o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as a whole, which is different with South Korea using indecency regulation. Although the regulation on the atmosphere, wastes, and water quality is control led by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it does not have a direct protection law on soil conservation, etc. There are several general provisions of the regulations controlling subjects such as the precaution sand environmental protection standards, pollutant release and import production ban, environmen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for statistical data and environmental economic indicator, and environmental certification system. In indecency regulation, it regulates subjects about the atmosphere protection such as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sand other laws in which required installation of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prohibition of a facility that exceeds emission standards, and stop page of the operation when it perceives a special weather phenomena. Recently, it emphasize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renewable resources.
    Secondly regarding soil environment protection, it deals with some laws such as the National Land Planning Act, the Forestry Act, the Farm Bill, and the Water Resources Act other tha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However, there is no individual environmental law existing such as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in South Korea that manages soil itself for the Soil Remediation.
    Third, regarding water pollution prevention, there are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Public Health Act, Taedong river pollution control act, River Law, the penstock law, and the urban management law, etc. There are river stream controlling regulation by the Cabinet, and the Water Resources Act, etc. regarding the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there is the regulation on the wastewater purifying facilities and the water supply facilities with the drinking water regarding water quality management.
    Fourth, i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article 2 ‘a preserve and a foster of natural environment,’ regard to the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such as ecosystems and etc., regulation issues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are stated. Through these statements, we can recognize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is more emphasized than any other environment protection area.
    Among the methods of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the management method that restricts activities on the most valuable area to protect is used in common. In North Korea, they also designate the nature protection area and specified protection area. To be more specific, those areas are such as the forest sanctuary, the animal sanctuary, the plant sanctuary, scenic spots sanctuary, and fishery resources sanctuary.
    Regarding previous context, “the Law of the nature conservation area” established in 2009 for protection of natural environment and diverse wildlife through settlement of the nature preservation area, is regulating law syntheticall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land or ocean.
    Fifthly, regard to the waste management, there is ‘the wastes handling law’ established in 2007 other than the environmental protect law. In the environmental protect law, it simply regulates wastes handling and recycling issues through 3 provisions. However, ‘the wastes handling law,’ as the general law on wastes, specifically restricts wastes’ ejection, storage, transportation, handling, and guidance control by classification.
    Seventhly, in North Korea, the government prevents the pollution in all levels of the people’s economy for protection of a living environment, and demands to foster street trees and green belts.
    In South Korea, there is a law called the gardens of law, which performing functions very similar to “the acts regard to city parks and green belts”. Lastly, regard to the environmental damages and its responsibility, the Civil Law and the compensatory damages law, which is based o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are functioning as a main law. But it is a noteworthy that obligators and an amount of compensation are decided by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nyway, it was not until 2000 that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s environmental law has become remarkable, and it means the reinforcement of North Korea’s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