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저작권법 개정안상 저작자의 추가보상금 지급청구와 관련된 국제사법 및 실질법에 관한 쟁점 (Issues Relating to Authors' Claims for Additional Remuneration under Several Bills for Copyright Act from the Perspective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and Material Laws)

6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06
65P 미리보기
저작권법 개정안상 저작자의 추가보상금 지급청구와 관련된 국제사법 및 실질법에 관한 쟁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사법연구 / 29권 / 1호 / 169 ~ 233페이지
    · 저자명 : 이규호

    초록

    오징어게임 등 K-콘텐츠의 글로벌 흥행으로 인해 특약이 없을 경우 추가적인 보상을 받을 수 없다는 점에서 추가보상권 도입에 대한 저작권법 일부개정법률안이 발의되어 있다. 영상저작물의 저작자에 한해 보상청구권을 인정하고자 하는 유정주 의원 대표발의안 및 성일종 의원 대표발의안이 바로 그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영상저작물의 저작자에게도 보상청구권을 인정하고자 하는 법안들도 존재한다. 즉, 영상저작물의 저작자 뿐만 아니라 그 밖의 유형의 저작물의 저작자에게도 보상청구권을 인정하고자 하는 법안으로는 노웅래 의원 대표발의안, 이용호 의원 대표발의안 및 조수진 의원 대표발의안이 있다. 그 밖에 영상저작물을 제외한 저작물의 저작자에게 보상청구권을 인정한 법안으로는 도종환 의원 대표발의안이 있다.
    영상저작물 이외에도 추가보상금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저작물의 유형도 존재하므로 이 글의 초점을 영상저작물에 한할 것은 아니라 저작물 전 유형에 둔다. 그리고 전술한 여러 저작권법 개정안이 준거법 등을 통해 외국인이나 외국 기업에는 적용되지 않고 내국인이나 국내 기업에만 적용되는 경우에는 내국인이나 국내 기업에 대한 역차별이 문제될 수 있는 바, 국제사법적 논의가 필연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i) 저작권법상 영상저작물에 관한 특례규정의 입법취지, (ii) 업무상 저작물에 관한 저작권법 제9조가 영상저작물에도 적용되는지 여부, (iii) 영상저작물 등과 관련하여 추가보상금 내지 보상금에 관한 외국 입법례, (iv) 국제저작권관리단체연맹(CISAC) 보고서의 내용, (v) 저작권법 개정안에 대한 법적 검토 순으로 다룬다. 특히, 저작권법 개정안과 관련하여 국제사법적 쟁점으로서는 (i) 저작권 양도계약, (ii) 양도가능성, (iii) 보상금, (iv) 업무상저작물, (v) 외국법의 적용시 해당 외국법상 강행규정 적용 여부 등을 고찰한다. 그런 다음, 실질법적 차원에서 각 법안의 장단점을 고찰하여 필자의 의견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Due to the global success of K-contents such as Squid Games, several bills to amend the Korean Copyright Act have been submitted to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in order to introduce additional remuneration rights for movie directors. Under the current Korean Copyright Act, it is impossible for them to receive additional remuneration for cinematographic works without special agreements with movie producers. For example, the bills submitted by Representives Jung-joo Yoo and Il-jong Seong are good illustratives which have introduced additional remuneration systems for authors of cinematographic works. In this regard, there are also bills that seek to recognize the right to additional or fair remuneration for authors of copyrighted works, i.e., not only for authors of cinematographic works but also for authors of other types of works. They are the bills submitted to the Koran National Assembly by Representatives Woong-rae Noh, Jong-hwan Do, Yong-ho Lee, and Soo-jin Cho.
    As there are other types of works that require additional remuneration in addition to cinematographic works,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not only on cinematographic works but also on all types of works. In addition, if the aforementioned bills to the Korean Copyright Act do not apply to foreigners or foreign companies through choice of laws, Koreans or domestic Korean companies will be reversely discriminated. Hence, the discussions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issues related to additional remuneration need to be preceded.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will discuss (i)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special provisions for copyrighted cinematographic works, (ii) whether Article 9 of the Korean Copyright Act applies to cinematographic works, (iii) foreign legislative examples of additional or fair remuneration for cinematographic works, (iv) the contents of a report published by the 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Copyright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v) the Korean National Assembly's reviews on the bills of the Korean Copyright Act.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the bills of the Korean Copyright Act, private international law issues include ones related to (i) copyright assignment agreements, (ii) transferability, (iii) remuneration, (iv) works for hire, and (v) the application of mandatory rules under foreign law. This Article then consider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bill from the perspective of substantive law and makes some comments on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