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가-법-폭력’에 대항하는 아이러니와 유머의 정치학 -들뢰즈의 ‘문학 철학’에 나타난 ‘법’ 개념을 중심으로- (La Politique d’ironie et d’humor Contre l‘Etat-loi-violence: sur la notion de ‘loi’ de philosophie littéraire chez Deleuz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0.12
32P 미리보기
‘국가-법-폭력’에 대항하는 아이러니와 유머의 정치학 -들뢰즈의 ‘문학 철학’에 나타난 ‘법’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시대와 철학 / 21권 / 4호 / 99 ~ 130페이지
    · 저자명 : 김명주

    초록

    본 논문은 들뢰즈의 법 개념을 중심으로 현대철학이 지닌 정치철학적 성격을 지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동안 법은 손쉽게 정의와 등치되어 왔지만 그것은 개념적인 차원에 머물러 있었다는데 들뢰즈의 문제의식이 있다.
    무엇보다 먼저 플라톤은 ‘최선’이라는 선의 이미지를 참칭한 고대적 법개념을 정립함으로써 기원적 차원에서 법의 특권적 위상을 가능하도록 했다. 이와 같이 선에 의존하는 법의 불구적인 위상은 그 적용과 효력의 과정에서도 유지된다. 즉, 법의 판결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최선에 함께 참여하는피의자의 선의지가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들뢰즈는 여기서 아이러니와유머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놓치지 않는다. 바로 주어져있는 사회의 규범적메커니즘이란 자신과 무관한 이념과의 자의적인 관계 가운데 의미를 발생할뿐이며 자신에게 지배받는 자들의 상상적 선의 혹은 두려움에 의해 유지될뿐이다.
    이러한 법과 선 사이의 무매개적 관계, 비관계적 관계는 그 내용이 텅빈 도덕적 형식으로 표명했던 칸트의 근대법에 의해 명백해진다. 법적 규범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의 실상은 법 앞에서 복종하는 주체에 의하지 않고는불가능한 것이 되어 버린다. 이제 법의 폭력은 법 앞에서 저항/복종하는 주체와의 관계 가운데에서만 실행된다. 이 메커니즘은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저항하고 복종하는 주체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법의 지배에 포섭될 뿐이다.
    저항과 복종의 이분법을 벗어나는 사이길, 법 앞의 주체의 균열과 탈주야야말로 현대 정치철학이 계속해서 발견해야 하는 삶의 정치학이 생성하는 길일 것이다.

    영어초록

    Cet article vise à révéler un caractère politique des philosophies contemporaines par la notion de loi chez Deleuze. Généralement, on avaient tendance à tenir la loi pour une justice. Mais Deleuze critique que c’est seulement pour une dimension conceptuelle.
    D’abord, Platon a donné une image de ‘Bien’ dans la loi.
    La loi n’est que le représentant du Bien dans un monde qu’il a plus ou moins déserté. Si bien que la notion de loi ne se soutient pas par elle-même, sauf par la force. Voilà que les lois remettent leur sort entre les mains du condamné et lui demandent, par sa soumission, de leur donner une sanction réfléchie. Deleuze indique d’ironie et d’houmour par rapport à cette actualité de loi. L’ironie est le jeu d’une pensée qui se permet de fonder la loi sur un Bien infiniment supérieur;l’humour, le jeu de cette pensée qui se permet de la sanctionner par un Mieux infiniment plus juste.
    Ensuite, la loi morale de Kant se découpe nettement sur cette non-relation entre loi et Bien. Elleest la représentation d’une pure forme, indépendante d’un contenu et d’un objet,d’un domaine et de circonstances. Donc, une violence de loi se maintient dans une relation avec un sujet de résistance/soumission. Il faut s’échapper d’une dichotomie de résistance/soumission pour dépasser une domination de loi. Suivant une fêlé et fuite de sujet avant la loi, il faut que la philosophie politique recherche la politique de la vi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대와 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