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수노동시장의 변화와 강사법 (The change of the professor labor market and the revised lecturer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9.03
47P 미리보기
교수노동시장의 변화와 강사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와 사회 / 121호 / 62 ~ 108페이지
    · 저자명 : 임순광

    초록

    2018년에 고등교육법이 개정되었다. 그때 강사를 위한 새로운 법(개정 강사법)이 제정되었고 2019년 8월 1일부터 시행된다. 강사들은 대학에서 일종의 시민권을 취득하게 될 것이고 처우 개선도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돈’을 이유로 대학들은 강사들을 해고(제거)하고 있다. 한국에서 시간강사는 사실상 일회용 크리넥스 노동자 또는 토너 노동자다. 대학은 개정 강사법에 극력 반대하고 있다. 왜냐하면 대학들은 산업예비군 같은 시간강사를 원하지 좋은 노동조건하에 있는 교수를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개정 강사법은 강사 정리해고의 핑계거리가 되었다. 한국의 대학은 죽은 교수의 사회가 되어버렸다.
    강사들을 해고하면서 강좌 수가 많이 줄었다. 전임교수들의 노동 강도가 높아지고있다. 교육환경이 나빠지고 있다. 학생들의 학습권이 침해당하고 있다. 대학원생들의미래가 암울해 지고 있다. 강사가 될 기회마저 잃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새로운 강사법 때문인가? 그렇지 않다. 문제는 다른 데 있다. 기업처럼 운영되는 대학은 비용절감과 대학평가에서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 2010년부터 강사에 대한 구조조정을 해 왔다.
    특히 강사 대량해고가 2013년, 2014년, 2016년에 일어났다. 2010년부터 2018년까지 3만 5,000명 이상의 강사가 쫓겨났다.
    구조적 문제는 대학에서 불안정 노동이 증가하는 것에 있다. 교수직의 비정규직화는교수노동시장의 핵심 특징이다. 현 사태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시간강사, 초빙교수, 겸임교수, 비정년 트랙 전임 교원 제도 등의 등장 배경과 실태를 함께 봐야 한다. 개정 강사법과 시행령의 제정 과정과 법령의 내용도 상세하게 살펴야 한다. 강사법에는 죄가없다. 문제는 기업형 대학에 있다. 착취와 차별에 맞서 분노하고 저항하는 것, 교수와강사를 위한 노동조합에 가입하는 것, 개정 강사법을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 더 나은 대안을 모색하면서 기업형 대학을 넘어서기 위해 노력하는 게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Higher Education Act was amended in 2018. At that time, a new law for the lecturers (the revised lecturer law) was enacted and will take effect on August 1, 2019. Many lecturers will get some kind of citizenship at the university and expect treatment improvements. However, because of cost reduction, universities are dismissing (removing) a lot of lecturers. In Korea, part-time lecturers are virtually Kleenex workers or toner workers. The university is opposed to the revised lecturer law as extreme. Because universities do not want professors in good working conditions. They want part-time lecturers on bad working conditions like a reserve army of labour. The revised lecturer law became an excuse for dismissal of the lecturers. Korean universities have become the society of dead professors.
    The number of courses decreased by laying down the lecturers. Labor intensity of full-time professors is increas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deteriorating. Undergraduates' right for learning is being violated. The future of graduate student is gloomy. Because they might even lose the opportunity to become a lecturer. Is it because of the revised lecturer law? I don't think so. The problem lies in the other. Universities that operate like a corporation have been restructuring their lecturers since 2010 to earn good marks in cost reduction and university evaluation. In particular, the mass layoffs of lecturers took place in 2013, 2014 and 2016. From 2010 to 2018, more than 35,000 lecturers were kicked out of university.
    The structural problem lies in increasing unstable labor in universities. The irregularization of professorship is a key feature of the professor labor marke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properl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background of the part-time lecturer system, invited professor system, adjunct professor system, non-tenure professor system, etc. The details of the enactment procedures and laws of the revised lecturer law and the enforcement ordinance should also be examined in detail. Lecturer law has no sin.
    The problem is in the corporate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strive for anger and resistance against exploitation and discrimination, joining trade unions for professors and lecturers, establishing the revised lecturer law at universities, seeking better alternatives and working beyond corporate univers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