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gal Status of Anima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0.08
29P 미리보기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51권 / 3호 / 25 ~ 53페이지
    · 저자명 : 박정기

    초록

    동물은 물건인가? 우리 민법상 동물은 물건의 한 유형이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는 사실이다. 민법은 물건을 부동산과 동산으로 분류하여, 토지 및 그 정착물은 부동산으로 규정하고 부동산 이외의 물건은 동산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동물은 동산에 해당한다. 이에 대하여 동물애호가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은 동물의 생명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강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애완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서 생각하고 평생을 같이 보내는 인생의 반려의 대상으로 삼기도 한다. 이러한 사람들은 애완동물을 마치 사람과 같이 여기고 사람과 같은 취급을 하려고 한다. 그러나 반대로 유기견 문제에서 잘 나타나듯이 키우던 동물을 버리거나 학대하여 사회적 문제가 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최근에는 애완동물을 포함한 동물의 학대를 방지하기 위한 법규가 만들어지는 등 동물보호의 측면에서 법과 제도들이 개편되고 있다. 1970년대 중후반 이후부터 선진외국에서는 동물의 복지 개선을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동물들에게 기본적인 권리를 부여하자는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독일에서는 1990년의 민법 개정으로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 라는 조문을 둠으로써 동물에게 사람과 물건 사이의 제3의 지위를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2002년 개정된 기본법에서는 헌법에 적합한 질서의 범위 내에서 동물을 보호해야 할 의무를 국가에 부과함으로써 동물보호에 대한 인간의 책임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프랑스에서도 독일과 마찬가지로 이론상 동물을 단순한 물건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에 가까운 존재로서 다루고자 하는 입장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하여 독일, 프랑스 등과 같은 동물보호 선진 외국의 논의 현황 및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동물의 보호에 관하여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때 도움을 주고자 한다.

    영어초록

    Are Animals objects? According to Korean civil law, Animals are objects of possession without a doubt. Since objects are classified into immovable property and movable property by the law previously mentioned, animals fall into the category of movable property. For civil law states that land along with things settled on it are immovable property whereas things other than immovable property are movable property. Thus, live creatures such as dogs are treated just like stuffed animals or robotic dogs as objects legally only because they share few characteristics such as being movable. Numerous people including animal devotees resent this kind of legal attitude since present laws based on it neglect the life of animals. Especially, although the extent of attachment to pets may differ, many people who keep pets think them as part of their family and sometimes view them as lifelong companions. In abroad nowadays, there are even people who leave all or a part of their material wealth to pets. Such people regard their pets as any other human being and treats them accordingly. However, social problems are frequent to arise due to some abandoning or abusing pets under their care. To prevent mistreatment of animals, there has been legal reorganizations along with new legislation recently.
    Ever since the late 1970s, there has been efforts to prevail animal welfare and discussions to give general rights to some animals. By civil law revision of the year 1990, Germany acknowledges the peculiar characteristic of animals explicitly by stipulating that animals are not objects. Thus, animals are given the third status of being in between objects and humans as creatures who have emotions and sensitivity. In addition, basic law amendment in 2002 stipulated that the state of Germany has an obligation to protect animals within the boundary of the constitution. Such measures will assist the animals to be regarded as live companions and emphasize the responsibility of humans in ensuring animal welfare. Meanwhile, the opinion that tends to view animals as creatures more closer to humans than they are to objects has been rising in France as in Germany.
    By observing the legal status of animals and numerous disputes regarding animal welfare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Germany and France, this research intends to offer a guideline in Korea once animal rights dispute ari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