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찰나법연기의 자이나교 기원설 (Jain Origin Theory of the Momentary Dharma Theory on Conditioned Co-arising)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5.04
36P 미리보기
찰나법연기의 자이나교 기원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73호 / 33 ~ 68페이지
    · 저자명 : 우동필

    초록

    본 연구는 아비달마 불교의 찰나법연기(刹那法緣起) 설명이 초기불교보다 자이나교 철학에 더 큰 영향을 받았음을 주장한다. 찰나법연기설은 오랫 동안 불교의 고유한 이론으로 여겨졌으나, 로스팟(A. V. Rospatt)은 그 기원을 자이나교의 영향으로 추적한다. 찰나법연기설의 최초 흔적은 초기 경전이나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의 초기 문헌에서 발견되지 않으며, 기원후 2세기경 이후의『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이나『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 磨俱舍論, 4세기)에서 비로소 나타난다는 것이다. 반면에 자이나교 철학에 서는 업(業, karma)의 미세함(微, sūkṣma)을 설명하기 위해 원자적 시·공간 개념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로스팟은 찰나법연기설이 자이나교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다. 본 연구는 각각의 철학적 체계들을 비 교 분석함으로써 로스팟의 주장을 지지한다. 초기 경전에서 연기, 12법, 연 기 공식은 하나의 체계이다. 연기는 범부가 스스로 구축한 인식과 존재의 틀 안에서 고통을 경험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그 업 이론은 탐진치(貪瞋癡), 욕구, 지족, 고통 등을 바탕으로 한 업보론을 통해 삼계(三界, ti-dhātu)에 서의 생사·윤회를 설명한다. 반면, 아비달마에서 연기와 연기 공식은 찰나적으로 생멸하는 법들의 인연과 상속을 통해 모든 현상의 인과 관계를 설명하며, 십이연기는 ‘번뇌-업-재생’의 이중 구조로 삼세에 걸친 윤회를 설명한다. 이는 시간적 틀에서 [십이]연기를 형이상학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자이나교는 전생의 쾌락과 죄로 인해 업의 입자가 영혼(命我, jīva)으로 유입되고(漏, āsrāva) 속박되어(束縛, bandha) 재생이 이루어진다고 설명한다. 업의 미세함에 대한 설명은 공간적, 시간적 원자 개념을 요청하고 시간적 틀에서 ‘번뇌-업-재생’의 윤회관을 낳았다. 아비달마는 실체를 부정하지만, 원자론적 시간 개념을 통해 현상과 윤회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자이나교와 유사한 사유 구조를 공유한다. 양자의 유사성을 토대로 본 연구는 ‘찰나법연기의 자이나교 기원설’을 주장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rgues that the momentary dharma theory on conditioned co-arising in Abhidharma Buddhism was more greatly influenced by Jain philosophy than by early Buddhism. The momentary dharma theory on conditioned co-arising has long been considered a unique theory of Buddhism, but A. V. Rospatt traces its origin to the influence of Jainism. The earliest traces of the momentary dharma theory on conditioned co-arising are not found in early scriptures or the early texts of the Sarvāstivāda school, but first appear in the Mahāvibhāṣā from around the 2nd century CE and the Abhidharmakośa from the 4th century. On the other hand, in Jain philosophy, the concept of atomic space and time was necessary to explain the subtlety (sūkṣma) of karma. For this reason, Rospatt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momentary dharma theory on conditioned co-arising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Jainism. This study supports Rospatt’s claim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hilosophical systems. In the early scriptures, conditioned co-arising, the 12 links, and the formula of conditioned co-arising are a single system. conditioned co-arising reveals the process by which ordinary people experience suffering within the framework of perception and existence they have constructed themselves. Its theory of karma explains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in the three realms (ti-dhātu) through a theory of karmic retribution based on greed, anger, ignorance, desire, contentment, suffering, and so on. In contrast, in Abhidharma, conditioned co-arising and the formula of conditioned co-arising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s of all phenomena through the conditioning and continuity of momentarily arising and ceasing dharmas, and the 12 links explain the cycle of rebirth over three lifetimes as a dual structure of “defilement-karma-rebirth”. This is a metaphysical explanation of paṭiccasamuppāda within a temporal framework. Jainism explains that due to pleasure and sin from past lives, karmic particles flow into (āsrāva) the soul (jīva), are bound (bandha), and rebirth occurs. The explanation of the subtlety of karma requires spatial and temporal atomic concepts and gave rise to the view of rebirth as “defilement-karma-rebirth” within a temporal framework. Although Abhidharma denies substances, it shares a similar thought structure with Jainism in explaining phenomena and rebirth through an atomistic concept of time. Bas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This study proposes the “Jain origin theory of the momentary dharma theory on conditioned co-aris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