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밀교 경애법도량 자비도량참법 연구 (A Study on the Buddhist Service with the Endearing dharma[vaśī-karaṇa] in the Jabidoryangchambeop of Esoteric Buddhis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9.02
31P 미리보기
밀교 경애법도량 자비도량참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89호 / 189 ~ 219페이지
    · 저자명 : 강향임, 강대현

    초록

    현세에서 자비도량을 개설하여 자신의 죄업을 참회하고 나아가 육도를 윤회하는 일체중생을 평등한 마음으로 여기는 법회[도량]가 자비도량참법이다. 그러므로 이 참법은 자신의 죄를 참회하고 일체중생을 위한 올바른 행을 일으키는 모범적인 의례이고 법칙이다. 이러한 자비도량참법의 궁극적인 목적은 육도중생을 자비심으로서 그들의 구제를 돕고 불법의 옹호를 받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는 대승불교의 불신관이 자리하고 있음으로써, 육도의 일체중생이 각각의 도상에서 구제될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음과 동시에 그들 모두가 하나의 법신으로서 성불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법신관에 기인한 밀교수법의 하나가 호마법[내호마법]이라고 할 수 있다. 외형적인 호마의식에 의거하지 않고 본존을 향한 관념적인 제반의 공양이 곧 내호마법인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호마법 중 경애법이 자비도량참법의 교학적 대의와 연관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자비도량참법은 지옥이나 아수라ㆍ축생 등의 경지에 있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차원이 낮은 구원 방편의 일종인 밀교 호마법 중 경애법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고, 이러한 경애법은 경애만다라로도 나타나 밀교의궤적 양상으로도 정의되고 있으며, 또한 『자비도량참법』의 밀교 경애법식을 통하여서는 삼선도인 천도, 수라도, 인도로부터 삼악도인 지옥도, 아귀도, 축생도의 순서로 경애법이 시설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ere is a Buddhist service with a protocol for repenting crimes based on compassion in this life. It is called Jabidoryangchambeop. Namely, in the present age, the way to eliminate all karma or ignorance of all sentient beings is the mercy ritual method in this life. Therefore, this protocol for repenting crimes is an exemplary ritualist law that reflects on one’s own sins and causes correct action for all, an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Jabidoryangchambeop is to help all the senteint beings to be rescued in mercy and to be defended by the Buddha- dharma. This is based on the contemplation of the dharma body of Mahayana Buddhism. All the sentient beings of six destinies have the potential to be saved from each location, and they all may become Buddhas as a dharma-body. One of the esoteric rituals based on the contemplation of the dharma body is homa [internal fire ritual]. It is the internal fire ritual that is not based on the external protocol of homa but on various ideological offerings to the main object of veneration. In this paper, we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the endearing dharma [vaśī-karaṇa] of these homa can be related to the doctrinal claims of Jabidoryangchambeop. Therefore, the Buddhist service with the protocol for repenting crimes based on compassion concentrates on the penitentiary method of Buddhism that prays even for all the sentient beings in the world of other lands together through the esoteric ritual. In this way, the Jabidoryangchambeop [or Cibei daochang chanfa] can be regarded as the consummate skillful means for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re-births based on the dharma body Budd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