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梅花點式 長短記譜法 硏究 (A Study on Maehwajeom Style Jangdan Notation Syste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1.12
24P 미리보기
梅花點式 長短記譜法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50권 / 43 ~ 66페이지
    · 저자명 : 김영운

    초록

    ‘매화점장단’은 장우벽(張友璧, 1735~1809)이 고안한 것으로,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성악곡인 가곡(歌曲)의 장단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가곡 장단은 한 장단이 10점 16박이며, 3+3+2+3+3+2박으로 구성되었다. 가곡의 주된 연주가 계층인 가객들에게 이 장단은 그리 어려운 것이 아니었으나, 가곡을처음 배우는 비전문가 초보자에게는 비교적 어려운 장단이었다. 따라서 ‘매화점장단’은 복잡한 10점 16박 한 장단을 그 절반인 5점 8박 단위의 규칙적인 장단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매화점장단은 다섯 개의 작은 원과 이를 연결한 직선으로 표기되는데, 검은 원은 음점이고, 흰 원은양점이 된다. 이 매화점당단이 가곡 한 장단의 절반에 해당된다는 점은 장사훈박사에 의하여 오래 전에밝혀졌다. 그러나 매화점장단처럼 음점과 양점으로 가곡 한 곡 전체의 장단을 표기하고 있는 『가곡원류』(1876)의 <장고장단점수배포>의 장단표기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이 연구는 매화점장단처럼 음점과 양점을 활용하여 가곡의 장단을 표기하는 기보법을 ‘매화점식 장단기보법’이라 부르고자 하며, 몇몇 고악보에서 발견되는 이 기보방법을 소개하고, 악보에 따라 다르게표기된 장단의 해석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매화점식 장단기보법이 처음 사용된 『가곡원류』 <장고장단점수배포>의 장단 해석 방법을 찾아보고, 『가곡원류』의 이본 중에서 이 기보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채로 옮겨 적는 과정에서 생긴 일부 오류를 지적하였다.
    『가곡원류』 이후 매화점식 장단기보법은 시조의 장단을 표기하기 위하여 활용되기도 하였는데, 시조장단 역시 『가곡원류』의 가곡 장단처럼 전곡의 장단을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가곡원류』의 이본중 하나인 『청구영언(하합본 가곡원류)』에서는 가사 장단을 표기하기 위하여 활용되었고, 19세기 말경의 악보인 『서금가곡』에서는 기악곡인 영산회상의 장단을, 그리고 20세기 초의 가야금악보인 『동국대학교 소장 율보』(1921)에서는 산조의 장단을 이 기보법으로 표기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점으로 보아 매화점식 장단기보법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반세기 가량 일부 악보에서 성악곡과 기악곡의 장단을 기보하기 위하여 사용된 독특한 기보법임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Devised by Jang Woo-byeok (1735-1809) maehwajeom (apricot-stroke) jangdan is used to notate the jangdan (rhythmic patterns) of Gagok, a genre of vocal music representative of the late Joseon period. One rhythmic cycle of Gagok with 16 beats is made up of the complex structure of 3+3+2+3+3+2 beats. Such Gagok jangdan was not so much difficult for the gagaek, the main performing group of Gagok. However, the compound beat structure of Gagok jangdan was a great obstacle for beginning amateur learners. The system of maehwajeom jangdan was designed to help people to easily understand the 16-beat rhythmic pattern as a repetition of eight beats.
    The maehwajeom jangdan consists of five small circles and straight lines that connect them. Black circles represent yin and white ones yang. It has long been proved by the late Dr. Jang Sa-hun that one cycle of maehwajeom jangdan corresponds with half cycle of Gagok jangdan,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ow to interpret the rhythmic pattern of Gagok Wollyu (1876) where the entire rhythmic pattern of Gagok is illustrated with yin and yang circles In this paper I term the method of notation which employs yin and yang circles to describe Gagok jangdan the ‘maehwajeom style jangdan notation system’ since the system is adopting the ‘maehwajeom notation system’. Then I introduce and interpret some examples of using the ‘maehwajeom style jangdan notation system’ found in old notation book(goakbo).
    To this end, I first analyzed the notations in this system written in Gagok Wollyu, the first book to use the ‘maehwajeom style jangdan notation system’ and I have discovered that various copies of the book simply copied this notation without adequate understanding.
    Since Gagok Wollyu, this ‘maehwajeom style jangdan system’ has been applied not only to Gagok, but also to Sijo. The entire rhythmic pattern of Sijo has been described as it was for Gagok in Gagok Wollyu. Moreover, the system was used to notate the rhythmic pattern of Gasa in one of the copies of Gagok Wollyu. In Seogeum Gagok, a music book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maehwajeom style jangdan notation system’ is used for the Yeongsan Hoesang, an instrumental suite. Yulbo in the Possession of Dongguk University, an early 20th-century music book for gayageum, even notated the rhythmic patterns of Sanjo using this system.
    Based on the above founding,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significations of the ‘maehwajeom style jangdan notation system’ as a ‘unique and effective’ notation system adopted to notate the rhythmic patterns of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in many old notation books for nearly half a century betwee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