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ICJ의 영토분쟁사건 판례에 나타난 국제법상 시제법의 확장적용 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ies for the Extension of the Intertemporal Law Displayed through Individual Opinions of Judges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on Territorial Dispute Cas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1.09
31P 미리보기
ICJ의 영토분쟁사건 판례에 나타난 국제법상 시제법의 확장적용 가능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66권 / 3호 / 273 ~ 303페이지
    · 저자명 : 정동은

    초록

    법의 적용은 공간적 적용과 시간적 적용으로 구분되어진다. 시제법은 법규범의 시간적 적용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국제법상 시제법이 적용되는 주된 영역은 조약의 해석과 영토분쟁의 분야이지만 이 논문에서는 영토분쟁에 그 초점을 맞추었다. 시제법규칙은 1928년 상설중재재판소에 회부된 Island of Palmas case의 Huber 재판관 판시에서 최초로 명확하게 밝혀진 바, 이 중재판정에서 Huber 재판관은 권리의 창설과 권리의 존속을 명확 하게 구분하였다. 법적인 사실은 그 당시의 법에 의해 판단되어야 한다는 시제법 제1규칙 (이른 바, 동시대성의 원칙)은 그 이후 대다수의 국제법학자 및 국제사법재판소 등의 판례 를 통해 적극적인 지지입장을 확보하여 원칙처럼 수용되어 왔다. 반면, 권리의 지속적인 발현이 법의 진화에 의해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야 한다는 시제법 제2규칙(이른 바, 시제법 원칙의 확장적용)은 기존의 법적권원을 위협함으로써 국제사회의 안정성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거센 비판과 논란을 야기하였다. 하지만 최근 시제법의 확장적용을 시도하는 판례 가 출현하고 있고, 이러한 국가실행과 국제 판례가 축적된다면 향후 시제법 제2규칙이 원칙으로 진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국제사법재판소를 비롯한 대다수의 국제사법기관은 탈식민이라는 현대국제법 원칙에 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대다수의 판결에서 시제법을 기계적이고 무비판적으로 적용하여 식민경영국의 결정에 압도적인 가치를 부여하여 왔다. 즉, 19세기의 유럽 중심적 국제법의 기준을 일률적으로 고수함으로써 분쟁 당사국의 여타 복합적 쟁점사안들에 대한 균형적인 고려를 도외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ICJ 재판관의 개별의견은 동 의견을 판시하는 재판관 의 일반적인 평판이나 논리의 설득력에 따라 추후에 보다 개선된 법을 표현하는 계몽적이 고 식견이 높은 의견으로 진화할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그러한 관점에서 볼 때, 앞의 두 판례(카타르와 바레인 간 해양경계 및 영토문제 사건 및 카메룬과 나이지리아 간 육지 및 해양경계 사건)에서 제시된 ICJ 재판관의 개별의견은 본안 판결에 서의 시제법의 기계적 적용을 비판하면서, 시제법의 확장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어, 탈식민과 형평적 국제법질서를 지향하는 현대 국제법적 측면에서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고 본다.

    영어초록

    The application of law can be divided into spatial and temporal sphere. Intertemporal law deals with temporal applicability of a norm. There are two major areas in which intertemporal law is applicable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law. First pertains to the principle of treaty interpretation into which considerations of time and change are woven. The second is territorial disputes on which this paper brings to a focus. States’ relevant acts over time may lead to creation or extinction of territorial claims even though time itself neither create or extinguish them. The principle of intertemporal law was initially clarified in the Island of Palmas case of 1928 where Judge Huber distinguished the creation and the existence of rights. The first rule of intertemporal law (principle of contemporaneity), later widely accepted among scholars and international tribunals, follows from the general principle that a juridical fact must be appreciated in light of the law contemporaneous with it. It has been accepted as a principle in international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ule, which might be called as the extension of intertemporal law, refers to the necessity to take into account change and evolution in the existence of these rights. The latter approach has been criticized as threatening existing legal titles and causing instability as well as chaos of international society. It remains as a rule up till now.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has almost blindly adhered to the concept of legal stability and consistently upheld the legal effect of intertemporal law in various contending cases with a very few of rare exceptions glimpsed through individual opinions of ICJ judges. Depending on the author’s general reputation and the cogency of his or her reasoning, the individual opinion may in the course of time come to be seen as expressive of better law. The individual opinions on the jurisprudence regarding territorial disputes in two cases between Quatar and Bahrain in 2001 and Cameroon and Nigeria in 2002 share a similarity in criticizing a mechanical application of intertemporal law as significant weight was given to the decisions of colonial powers ruling at that time in the final judgement.
    In conclusion, afore-mentioned individual opinions of the ICJ Judges might indicate possibilities for the second rule of intertemporal law to evolve into a principle in the future with further accumulation of state practices and judicial cases applying the extension of intertemporal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법학회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