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제법상 전후법(Jus Post Bellum)에 관한 현대적 논의: 개념과 원칙을 중심으로 (Modern Discourses on Jus Post Bellum in International Law: Definition and Principl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09.12
28P 미리보기
국제법상 전후법(Jus Post Bellum)에 관한 현대적 논의: 개념과 원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54권 / 3호 / 133 ~ 160페이지
    · 저자명 : 김형구

    초록

    무력충돌법에 대한 전통적인 법체제의 분류는 전쟁 개시에 관한 법(jus ad bellum)과 교전법규(jus in bello)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제3의 체제로서 이른바 전후법(jus post bellum)의 도입과 관련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정전론의 맥락에서 논의되어 온 전후법의 개념은 오래전부터 출현하였으나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해왔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이후 전쟁패러다임이 변하고, 특히 최근에는 UN과 같은 국제기구 또는 다자간 협력을 배경으로는 이른바 종합적인 “평화구축활동”이 등장하는 등 시대적 변화를 배경으로 기존의 법체제에 의해 완전히 규율될 수 없는 특수한 전후 상황에 대한 새로운 법체제인 ‘전후법’이 논의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은 “전후법의 역사는 무엇인가?”, “왜 전후법은 오랜 기간동안 학자들의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없었는가?”, “현재에 있어 왜 전후법은 다시 논의되어야 하는가?” 그리고 “교전규범, 국제인권법, 국제형사법을 포함하는 현존하는 법체제의 분류가 전후라는 특수상황에 충분히 부합하는가?”, “전후법과 전쟁개시에 관한 법 그리고 교전법규는 상호간에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한가?”, “전후법의 개념 및 기본원칙으로는 어떠한 내용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인가?” 등 현재 전후법에 대한 논의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다양한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영어초록

    In traditional approach,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law of armed conflict is composed with jus ad bellum and jus in bello rules. However, a number of international law scholars and ethical philosophers are discussing the third sub-system of law of armed conflict, so-called “jus post bellum”. Nevertheless, the notion of jus post bellum is not newly appeared one in historical sense, and it had been introduced by many famous just war theorists in 18 and early 19 centuries, including Emmerichde Vattel, and Immanuel Kant, but Jus post bellum was not supported or even disregarded even among modern jus war theorists till 21st century. However, now days jus post bellum is strongly required due to recent changes of practic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emergence of comprehensive peace-building operations managed by the UN or international cooperations, change of the paradigms and methods of armed conflict, and so forth.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deals with the issues and the discourses in international law on jus post bellum in recent days. In particular, this article focuses upon the general issues on jus post bellum as lex ferenda, including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the history of jus post bellum in the context of just war theories?” “Why is that scholars disregarded jus post bellum as one of sub-legal systems of law of armed conflict?” “Why is that various existing laws in international law, includ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ternational criminal law and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nd jus ad bellum and jus in bello may be appropriate norms to manage the post-conflict situation?” “What may be the definition of jus post bellum as a third category of law of armed conflict?” “What should be regarded as desirable principle of jus post bellum?” And “What are the risks of jus post bellum discourses in recent day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법학회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