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정기본법」상의 인허가의제 규정에 대한 법적 소고 (A Jurisprudential Thought about Legal Fiction of Permission on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1.03
36P 미리보기
「행정기본법」상의 인허가의제 규정에 대한 법적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4권 / 1호 / 209 ~ 244페이지
    · 저자명 : 배정범

    초록

    다수의 개별법에 산재되어 있는 규정들에 의해 운영되어왔던 인허가의제 제도에 대해서는 하루빨리 일반적 규정을 만들어 인허가의제와 관련된 여러 쟁점들에 대한 입법적 해결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제시되어 왔다.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행정기본법」에는 각 개별법상의 인허가의제 관련 규정들과 판례를 통해 형성된 법리에 의해 규율되어 왔던 사항들 중 공통되는 일반사항들에 대한 법제화를 위해 3개의 조문을 마련하였다.
    인허가의제와 관련해 「행정기본법」에 규정된 인허가의제 법정주의와 관련 인허가의 실체적 요건에 대한 심사의무를 전제로 한 협의규정은 법치행정의 원리에 비추어볼 때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관련 인허가의 실체적 요건에 대한 심사를 전제로 하여 관련 행정청으로 하여금 사후 관리·감독 권한을 부여하고 있는 규정 역시 논리적으로 일관성을 갖춘 것이라 생각된다. 그 밖에도 부분 인허가의제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서 관련 행정청의 협의가 이루어진 사항에 대해서만 의제효를 인정하는 규정과 협의기간 및 협의간주 규정들은 절차의 간소화와 효율적이고 신속한 업무처리라는 인허가의제 제도의 목적에 부합하는 규정들로 보인다.
    한편, 「행정기본법」은 주된 인허가가 취소되는 경우 의제된 인허가까지 취소된 것으로 볼 것인지, 의제된 인허가만을 별도로 취소할 수 있는 것인지 및 의제된 인허가의 위법성이 주된 인허가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는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이러한 사항들은 쟁송법적 쟁점들이므로 기본법에 담기에는 적절치 않으며, 개별법마다 주된 인허가와 관련 인허가의 관계가 서로 상이하므로 개별법에 관련 규정을 두거나 아니면 판례를 통해 개별적으로 그 구체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들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의제되는 관련 인허가에 대한 부담금 부과 등은 다른 법률에 명시적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불가능하다는 취지의 규정이 「행정기본법」에 담기지 못한 것과 타법상의 인허가 의제효를 갖는 “신고”가 「행정기본법」상의 인허가 의제규정의 적용대상인지를 정확히 규정하지 못한 것은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영어초록

    Regarding the legal fiction system of permission, which has been operated by provisions scattered throughout several individual acts, opinions called for a legislative solution to various issues related to legal fiction of permission by making general provisions as soon as possible.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on」, which recently resolved by the National Assembly, established three articles for enacting common general matters among those that have been governed by provisions related to the legal fiction of permission of each act and the legal principles formed through precedents.
    The consultation provision, which is premised on the obligation to examine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permission, and the legalism about legal fiction of permission is considered appropriate in the light of the principles of legal administration. Additionally, the provision, which gives the related administrative agencies the authority to monitor and supervise about the substantive requirements for the permission, is logically consistent. Moreover, the provision recognizes the effectiveness only for those matters that the relevant administrative agency has negotiated under the premise that a partial permission is possible. Further, the provisions on the consultation period and the deemed consultation seem to meet the legal fiction system’s purpose, which efficiently and rapidly simplifies the procedures.
    On the other hand,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on」 has no provisions on the matters, how the revocation of primary permission affects the legal fiction of permission, or whether only the related permission can be revoked separately. These are matters of legal dispute and are not appropriate for inclusion in the framework act.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ary license and the related license differs for each act, these may be issues that should be resolved to establish relevant provisions in the individual act or to secure specific validity individually through precedents.
    Lastly, the provision, which stipulates that imposition of charge for relevant permission is not allowed except in cases where other laws explicitly stipulate this, don't exist in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on」. Whether a “report”, which has the legal fiction’s effect of permission under other laws, is subject to the legal fiction provision in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on」 is not accurately stipul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