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육진방언의 종결어미와 청자높임법(2) -중국 조선족자치주 육진방언의 청유법과 명령법- (The Hearer Honorific Final Endings in Yukjin Dialect(2) -the imperative and propositive endings of Yukjin Dialect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Chin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7.12
30P 미리보기
육진방언의 종결어미와 청자높임법(2) -중국 조선족자치주 육진방언의 청유법과 명령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언학회
    · 수록지 정보 : 방언학 / 26호 / 105 ~ 134페이지
    · 저자명 : 곽충구

    초록

    청유법의 하압소체 어미로는 ‘-깁소, -겝소’, ‘-깁셔, -겝셔’(또는 ‘-깁쇼, -겝쇼’)가 있다. 이 방언의 부사형 어미는 ‘-긔’로부터 ‘-기’, ‘-게’로 변화하였다는 점과 위 어미의 첫음절이 하강조로 실현된다는 점에 근거하여 ‘-깁소, -겝소’를 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면, ‘-기’, ‘-게’와 명령법의 하압소체 어미 ‘-읍소’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청유법의 하압소체 어미들이 본디 간접 사동 명령의 구성 형식으로부터 문법화한 것임을 시사한다. 즉, 통시적으로 ‘-긔 소’가 문법화한 것이다. 그리고 ‘-깁셔, -겝셔’(또는 ‘-깁쇼, -겝쇼’)는 ‘-긔 시오’가 문법화한 것이다. 때문에 ‘-깁셔, -겝셔’는 ‘-깁소, -겝소’보다 더 공손한 표현에 쓰인다. ‘-깁셔, -겝셔’와 명령법 어미 ‘-읍셔/-습셔’의 ‘셔’는 ‘쇼’의 변이로 보인다. 또 청자존대(화자겸양)의 ‘-읍/-습’에 위축되어 종전에 잘 쓰이지 않던 ‘-(으)시-’가 표준어의 영향으로 활발하게 쓰이면서 다양한 어미들이 출현하였다. 그 중에서 ‘-기시오’, ‘-기쇼’가 비노년층의 청유법 어미로 자리를 잡았다.
    명령법의 하압소체 어미로는 ‘-읍세사’, ‘-읍셔/-습셔’, ‘-읍쇼/-습쇼’, ‘-읍소/-습소’, ‘-읍꽈니/-습꽈니’, ‘-(으)쇼’ 등이 있다. ‘-읍세사’는 기원문에 쓰인다. ‘-읍소/-습소’를 기준으로 할 때 ‘-읍셔/-습셔’(또는 ‘-읍쇼/-습쇼’)는 그보다 더 공손한 표현에, ‘-읍꽈니/-습꽈니’는 그보다 덜 공손한 표현에 쓰인다. 그리고 ‘-읍소/-습소’에 ‘-읍시-’와 ‘-옵시-’가 결합된 ‘-읍십소’, ‘-옵십소’는 한층 더 공손한 표현을 나타낸다. 한편, ‘-읍소/-습소’, ‘-읍궤/-습궤’는 각각 ‘-읍소’, ‘-읍궤’로 점차 단일화(paradigmatic leveling)가 진행되고 있는데 비노년층에서는 그 단일화 경향이 현저하다. ‘-(으)쇼’는 청유법의 ‘-기쇼’처럼 젊은이들의 명령법 어미로 자리를 굳혔는데 이 역시 ‘-(으)시-’가 삽입되어 생성된 어미이다. 하오체의 어미로는 ‘-읍궤/-습궤’, ‘-오/-소’ 등이 있는데 후자는 좀 더 격식적인 발화에서 쓰인다. 해라체 어미로는 ‘-나라~-나, -가라~-거라, -아라/-어라’가 있으며 ‘-(으)라니’ 따위는 반말체 어미로 쓰인다.
    한편, 도시 지역의 비노년층에서는 억양에 의하여 서법을 실현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describe sentence final endings and the addressee-honorific expression of the imperative and propositive of Yukjin dialect. I classified them into the four speech levels as 'haapso(하압소)', 'hao(하오)', 'haera(해라)' and 'panmal(반말)'. There are '-kipso(-깁소)', '-kepso(-겝소)', '-kipsyə(-깁셔)', '-kepsyə(-겝셔)', '-kipsyo(-깁쇼)', '-kepsyo(-겝쇼)' in the propositive of haapso style. The '-kipso(-깁소)', '-kepso(-겝소)' synchronically are analyzed to combination of adverbial ending '-ki(-기)', -ke(-게)' and the imperative '-ɨpso'(-읍소), '-ɨpsyə'(-읍셔-). This suggests that the propositive endings of the haapso style developed from the causative imperative. From a diachronic point of view, we can assume that it was grammaticalized from '-kɨy hɐpso(-긔 소)'. The '-kipsyo', '-kepsyo' and '-kipsyə', '-kepsyə' are used in expressions more polite than '-kipso', '-kepso'. Meanwhile, because subject honorific prefinal-ending '-si-' has been used extensivel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tandard language, various haapso style endings have appeared newly. So '-kisio', '-kisyo' which '-si-' is inserted, are used firmly in the younger generation. And there are '-ɨpsesa(-읍세사)', '-ɨpsyə/-sɨpsyə(-읍셔/-습셔)', ‘-ɨpso(-읍소)/-sɨpso(-습소)', '-ɨpkwani(-읍꽈니)/-sɨpkwani(-습꽈니)', '-(ɨ)syo(-(으)쇼'(haapso style) and '-o(-오)/-so(-소)', '-ɨpkwe(-읍궤/-sɨpkwe(-습궤)'(hao style) in the imperative endings. The ending ‘-ɨpsesa’ is used in the optative sentence and '-ɨpsyə/-sɨpsyə' are used in expression more polite than '-ɨpso/-sɨpso'. And the imperative endings are gradually leveling as '-ɨpso-', '-ɨpkwe' etc. The ending ‘-(ɨ)syo’ that '-si-' was inserted, is used in the younger generation as like '-kisyo' of the propositive. Among '-ɨpkwe(-읍궤)/-sɨpkwe(-습궤)', '-o(-오)/-so(-소)' of the hao style endings, the later is more formal than the formmer. And there are ‘-nara(-나라)~-na(-나), -kara(-가라)~-kəra(-거라), -ara(-아라/-əra(-어라)’ in the haera style. The '-(ɨ)rani((-으)라니’ is used in panmal style. Finally, the mood tend to realize depending on intonation in the non-elder generation, and such a tendency is strongly and steadily expa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