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공디자인법과 경관법의 역할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l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Design Act and Landscape Act)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7.03
14P 미리보기
공공디자인법과 경관법의 역할 관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3권 / 1호 / 613 ~ 626페이지
    · 저자명 : 최성호

    초록

    2016년 8월 4일 공공디자인법이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갔다. 공공디자인법은 공공영역에서의 디자인 행위를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문화향유권을 증대하려는 국가적 정책이다. 그간 국내의 공공영역과 관련한디자인은 경관의 관리 측면을 강조한 경관법의 세부사항처럼 제한되거나 생산자와 소비자의 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디자인과 차별성을 놓고 논쟁을 치루는 등 복잡한 관계 속에서 그 역할이 명백하게 규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미 2007년부터 시행된 경관법에 의한 조례보다도 법제화되지 않은공공디자인 관련 조례의 숫자가 많을 정도로 그 필요성은 확대되어 왔고 결국 공공디자인법이 제정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법 제정시 논의되었던 산업디자인과 경관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핵심적 비교사항인 공공디자인법과 경관법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역할 관계 모색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의 효율적 활용 방향을 제시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그 동안 진행되었던 공공디자인법과 경관법의 정의와 목적의 분석을 통한 지향점, 법의 구조체계, 사업내용 비교 조사 등을 통해 각각의 특성을 분석,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공공디자인법과 경관법의 바람직한 역할 관계를 세 가지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그 방향은 첫째, 공공디자인법은 정체성의 추구, 경관법은 종합적 이미지의 관리에 중점을 두는 것이바람직하고, 둘째, 특정 지역에 대한 사업에서 기획 및마스터플랜은 공공디자인법, 이를 위한 지침은 경관법에 기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셋째, 위원회는 공동위원회 운영 등 운영의 효율성을 기하는 것이 좋지만 도시브랜드나 문화적 정체성 논의는 공공디자인위원회를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정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공공디자인법과 경관법은 상호 발전을 위해 역할구분을 명확히 해 상호보완적 관계로 작동해야 하며, 이렇게 할 때 두 법률의 제정취지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영어초록

    On August 4, 2016, the Public Design Act went into full swing. The Public Design Act is a national policy aimed at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and enhancing the enjoyment of culture through design activities in the public domain. In the meantime, the design related to the public area in Korea has been limited to details of the landscape law emphasizing the management of the landscape. In addition, it has also argued for differentiation in industrial design based on fulfillment of needs of producers and consumers. Its role was not clearly defined in such a complicated relationship.
    However, in local governments, the necessity has been expanded so that the number of public design related ordinances which have not been legislated more than the regulations by the landscape act already implemented from 2007, and finally the public design act was enacted.
    This study has a purpose of finding the desirable rol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design act and the landscape act, and directing utilization of those acts to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entity and any government offices by examining the discussions about industrial design and landscape that was discussed in the public design act enactment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public design act and the landscape act which is core comparative issue.
    The research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the public design act and the landscape act, the structure of the law,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usiness contents, and so on. Through this study, the desirable rol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design act and landscape act is presented in three directions. The directions are as follow: First, it is desirable to focus on the identity of the public design act, the landscape act on the management of scenic images, and second, on the projects for specific areas, the planning and master plan should be based on public design, Third, it is desirable that the committee should maintain the efficiency of operation such as joint committee operation.
    However, discussion of city brand or cultural identity is summarized as desirability of operating a public design committee separ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ublic design act and the landscape act should clarify the roles for mutual development and work in complementary relation. In doing so, the enactment effect and the effect of both laws can be maxim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