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 대법원 법해석론의 흐름: 법실증주의, 법현실주의, 법원리론 (Models of Legal Interpretation in the Korean Supreme Court: Legal Positivism, Legal Realism, and the Theory of Legal Principles)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9.08
54P 미리보기
우리 대법원 법해석론의 흐름: 법실증주의, 법현실주의, 법원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철학연구 / 22권 / 2호 / 185 ~ 238페이지
    · 저자명 : 공두현

    초록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나타난 다수의견과 소수의견을 분석하면, 서로다른 법해석론이 실제 재판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관찰할 수 있다.
    법해석론은 법률의 해석기준 중 무엇을 우선으로 하는지에 따라 문언중심적법해석론, 체계중심적 법해석론, 의도중심적 법해석론, 목적중심적 법해석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법철학적 전통에 따라 법실증주의적 법해석론, 법현실주의적 법해석론, 법원리론에 기초한 법해석론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우리 대법원은 2000년대부터 여러 판결을 통해 법해석론이 변화하는 모습을보여 주고 있는데, 2005년부터 법원리론을 기초로 법의 통일성을 중요한 가치로 삼았고, 2011년 이후 정책적 판단과 결과에 대한 고려를 중심으로 하는 법현실주의적 태도를 보였으며, 2017년부터는 다시 전체 법질서의 통일성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흐름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법실증주의적 법해석론도 대법원내에서 의미 있는 소수의견으로 꾸준히 맥을 이어오고 있다.
    이러한 법해석론의 전환과 재전환은 대법관들이 가진 다양한 철학이 반영된결과이므로 앞으로도 대법원의 법해석론은 시대적 요청에 따라 계속 변화할 것이다. 이에 각각의 법해석론이 지닌 장점과 내포된 위험성을 명확하게 인식함으로써 올바른 법해석론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How different legal interpretation models are materialized in actual adjudications can be observed through the analysis of majority and minority opinions in en banc decisions.
    Models of legal interpretation can be divided into textualism, systematism, intentionalism, and purposivism, according to which standard of legal interpretation is prioritized. They can also be categorized by legal philosophy tradition into three models of legal positivism, legal realism, and the theory of legal principles.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continued to shift its jurisprudence through a number of adjudications since the 2000s. The court valued law’s integrity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legal principles from 2005, and then began to take the legal realism approach after 2011, which focuses on political decisions and their consequences. Since the year of 2017, however, the focus has been shifted back towards the integrity of law and order as a whole. Legal positivism, on the other hand, has still remained valid as minority opinions in the supreme court.
    Such conversion and reconversion in models of legal interpretation have resulted from reflection of diverse philosophies that justices of the supreme court hold. Therefore, models of legal interpretation applied by the supreme court are bound to constantly change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In this regard,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ppropriate models of legal interpretation by clearly identifying advantages and implicit risks of each mod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