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형법 제7조의 적용범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법원 2017. 8. 24. 전원합의체 판결 2017도5977을 중심으로 - (A Critical Consideration on Applicability of Article 7 of the Amended Criminal Law -Focused on En Banc Decision of 2017Do5977, Sentenc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Aug. 24, 2017-)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8.06
40P 미리보기
형법 제7조의 적용범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법원 2017. 8. 24. 전원합의체 판결 2017도5977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소송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 10권 / 1호 / 163 ~ 202페이지
    · 저자명 : 김기준

    초록

    일사부재리 원칙(Ne bis in idem)이 갖는 보편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재판권이 국제적으로 경합되는 상황에서는 위 원칙이 일반적으로 승인되고 있지 않은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거듭된 재판을 인정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외국에서 집행된 형을 국내형사절차에서 고려하는 일사부재벌(Ne bis poena in idem) 원칙이 다수 국가에 의하여 채택되고 있으며 우리 형법 제7조도 이러한 일사부재벌 원칙을 구현하고 있다.
    2016년 개정 이전 형법 제7조는 ‘형의 임의적 감면’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는 법이론적・실무적으로 부당한 것일 뿐 아니라 법원에 지나치게 많은 재량을 부여하고 당사자의 법적 지위를 심대하게 불안하게 한다는 점에서비판받아 왔다. 2015년 헌법재판소는 형법 제7조가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되어신체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등의 이유로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며 이에 따라2016년 형법 제7조는 형의 필요적 산입 방식으로 개정되기에 이르렀다.
    대법원은 개정된 형법 제7조에 대한 전원합의체판결(대법원 2017. 8. 24. 판결 2017도5977)을 통하여 외국 무죄판결 과정에서의 미결구금은 형법 제57조제1항의 미결구금과는 이질적인 것이고 관련된 불이익은 작량감경이나 양형심리 과정에서 반영될 수 있다는 등의 이유로 형법 제7조가 적용되거나 유추 적용될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대법원 다수의견이 채택한 형법 제57조 제1항을 매개로 한 분석은 방법론적으로 타당하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당사자의불이익을 작량감경 등 양형 문제로 해결하려는 것은 법이론적 문제점과 함께외국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던 사람을 불합리하게 차별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있다. 우리나라 형법과 실무에서는 미결구금이 본형에 전부 산입되어야 하는것으로 인정되고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유사성이 외국에서의 미결구금과 외국에서의 형벌 사이에서 부정되어야 할 특별한 이유를 발견하기 어렵다. 따라서일사부재벌 원칙을 반영한 형법 제7조의 입법취지와 규범 내용, 유추적용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 피고인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과 형사법규의 유추적용에관한 기존 대법원 판례 등을 고려하여 외국 무죄판결에 수반된 미결구금에 대한 형법 제7조의 유추 적용은 긍정되어야 할 것이다. 대법원 판례의 변경 없이동일한 해석이 유지될 경우 이는 또 다른 위헌논란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생각된다.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주장하는 양형을 통한 해결방식은 일사부재벌원칙의 독자성을 인정하지 않고 형법 제7조의 취지를 몰각시키며 법원이 피고인의 책임에 상응한 형을 선고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양형 일반조항으로의 도피’로 여겨질 수 있는 해결 방식은 구분되는 요건과 효과를 갖는법적 쟁점들을 개별적으로 섬세하게 다루는 것이 아니라 법관이 광범위한 재량을 갖는 양형 문제화시키려는 것으로 지양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Notwithstanding the universal value of ne bis in idem, it is true that such principle is not recognized in general in the context where the jurisdiction competes internationally. However, to complement the problems caused by the acknowledgment of repeated trials, the principle of ne bis poena in idem, which is considering the punishments imposed in foreign countries to domestic criminal procedure, is opted in a number of countries, and also it has been embodied in Article 7 of our Criminal Law.
    Article 7 of the Criminal Law, which was amended after 2016, had taken the methods of arbitrary reduction of punishments. However, the ways had been criticized because those were not only unfair in law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but also given too much discretion to the court, and made the legal status of the parties concerned much unstable. In 2015,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Article 7 of the Criminal Law as constitutional nonconformity for a reason that this Article violated the principle of excessive prohibition, therefore infringed on the freedom of the body and so on, thus Article 7 of the Criminal Law was amended in 2016 as the necessary inclusive form of punishment.
    For this newly amended Article 7 of the Criminal Law, the Supreme Court of Korea gave decision that Article 7 of the Criminal Law was not applicable nor analogically applicable, through en banc decision(2017 Do-5977, sentenc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dated Aug. 24, 2017), for the reasons that defendant's disadvantage, which might be happen in relation to pre-trial detention, that is different from clause 1 of Article 57 in the course of acquittal in the foreign courts, could be adjusted in the process of discretional deduction of sentence by the judge or pre-sentence investigation, and so on.
    Nonetheless, the analysis, which was mediated by clause 1 of Article 57 adopted by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to decide whether it was analogically applicable or not, results in unreasonable discrimination of defendants who have been acquitted in foreign countries, along with the legal theoretical problems including reduction of punishment itself for the reason of pre-trial detention in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it is hard to be seen as appropriate in methodology. In our Criminal Law and practice, pre-trial detention is recognized to be included all in the sentence, nevertheless, it is hard to find reasons why these similarities should be particularly denied between the cases of pre-trial detention and the sentence in foreign countries. Thus it is reasonable to recognize analogical application of Article 7 of the Criminal Law, as such the minority opinion in en banc decision, in consideration of protecting rights of the parties concerned, the purpose of Article 7 of the Criminal Law and existing judicial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regarding analogical application of criminal code, and if the same interpretation is maintained without any modification of judicial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it is thought to reach another controversies on the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Furthermore, the solution through sentences from en banc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hinders our courts to declare the sentences corresponding defendants’ responsibilities, and it intends to resolve legal issues with distinguished requirements and effects as the principle of ne bis poena in idem, by sentencing problems in which the judges have broad discretionary authority,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such ‘escape to general clauses of the sentence’ should be refra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