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80년 내시(內侍) 우계범(禹啓範)이 관여한 충주 산송의 특수 사례 고찰 (A Special Case Study of the Chungju Mountain Lawsuit Involving Eunuch Woo Gye-beom in 1880)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4.04
26P 미리보기
1880년 내시(內侍) 우계범(禹啓範)이 관여한 충주 산송의 특수 사례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64권 / 127 ~ 152페이지
    · 저자명 : 김나라

    초록

    본 논문은 충북 지역의 특수 산송 사례를 제시하고, 정조대 이후 내시의 송사 처리 과정을 조명하기 위해작성되었다. 충주(忠州) 마사(麻沙) 단양우씨(丹陽禹氏) 집안은 17세기부터 충주에 세거하며, 가차산면(加次山 面)⋅금생면(金生面)⋅동량동면(東良洞面)⋅산척면(山尺面) 일대에 분산(墳山)을 조성하였다. 이 분산들은 19 세기에 여러 차례 산송을 겪었다. 그 가운데 산척면에 위치한 우천석(禹天錫)⋅우팽(禹伻) 부자 묘소 산송에내시부(內侍府) 내시(內侍)가 관여한 사례가 확인되어 이를 살펴보았다.
    내시 우계범(禹啓範)이 관여한 산송의 전말은 다음과 같다. 충주에 세거하던 평해손씨 집안이 관과 결탁하여 우천석ㆍ우팽 부자 묘소에 늑장(勒葬)하면서 시작된 산송은 몇 년 동안 지연되는 양상을 보였다. 충주 마사 단양우씨 집안은 산송을 신속히 해결하고자 내시 우계범의 위세를 활용하여 산송의 흐름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만들었다. 내시 우계범과 충주 마사 단양우씨 집안이 결탁한 행위는 추후에 문제가 되어 산송에 참여했던 단양우씨 집안사람들이 옥에 갇히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산송 과정에서 평해손씨 집안이 늑장한 무덤을 파내고 다시 무덤을 조성하지 않아 예전처럼 산소를 수호할 수 있었다. 이 산송은 두 가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내시 우계범이 자신의 위세를 이용하여 산송의 흐름을 충주 마사 단양우씨 집안에 유리한 방향으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조선시대 내시는 왕의 최측근으로 그 위세를 무시할 수 없었다. 몇 년 동안 지연되고 있던 산송의 판도를 바꾼 것만 보더라도 이를 알 수 있다.
    둘째, 내시 우계범은 정조의 수교(受敎)에 의거하여 산송에 참여하였다. 정조는 재위시절 내시가 송사할 일이 있으면 내시부를 통해 국왕의 윤허를 받은 뒤 송사에 참여하라는 수교를 내렸다. 충주 마사 단양우씨 집안 산송문서에 이를 증빙하는 문서가 남아있어 내시가 산송에 참여하는 절차를 고찰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a special case of mountain lawsuit in the North Chungcheong region and was written to illuminate the process of handling these disputes by eunuchs after the reign of King Jeongjo. The Danyang Woo clan in Chungju Masa has been settled in Chungju since the 17th century and established funerary mountains in various areas including Gachasan-myeon(加次山面), Geumsaeng-myeon(金生面), Dongryangdong-myeon(東良洞面), and Sanchuk-myeon(山尺面). These funerary mountains experienced several lawsuits in the 19th century. Among them, a case involving the eunuch of the Eunuch Office in a mountain lawsuit over the graves of Woo Cheon-seok(禹天錫) and Woo Peng(禹伻), father and son, located in Sanchuk-myeon, was confirmed and examined.
    The full story of the mountain lawsuit involving Eunuch Woo Gye-beom(禹啓範) is as follows. The dispute began when the Pyeonghae Son clan, settled in Chungju, colluded with the authorities to forcibly bury in the graves of Woo Cheon-seok and Woo Peng, father and son, showing a pattern of delay over several years. The Danyang Woo clan in Chungju Masa used the influence of Eunuch Woo Gye-beom to swiftly resolve the mountain lawsuit, steering its course in their favor. The collusion between Eunuch Woo Gye-beom and th e Danyang Woo clan in Ch ungju Masa became a problem later, resulting in the imprisonment of members of the Danyang Woo family who participated in the mountain lawsuit. However, during the mountain lawsuit process, the Pyeonghae Son clan dug up the forcibly buried graves and did not rebuild them, allowing for the protection of the burial site as before. This mountain lawsuit requires attention to two main points.
    First, Eunuch Woo Gye-beom used h is influence to steer th e course of th e mountain lawsuit in favor of the DanyangWoo clan in Chungju Masa. During the Joseon Dynasty, eunuchs, being the closest aides to the king, wielded significant influence that could not be ignored. This can be seen by the fact that they were able to change the course of the mountain lawsuit that had been delayed for several years.
    Second, Eunuch Woo Gye-beom participated in the mountain lawsuit based on the orders of King Jeongjo. King Jeongjo issued orders during his reign that if a eunuch had to participate in legal disputes, they should do so with the king’s permission through the Eunuch Office. Documents proving this remain in the mountain lawsuit documents of the DanyangWoo clan in Chungju Masa allowing for an examination of the process by which a eunuch participated in the dispu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