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수구다라니> 범자본 기초조사(2) - 발원자의 이름과 판본 비교 (A Preliminary Study of the Sanskrit Mahāpratisarā-dhāraṇī from Silla (2))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4.12
18P 미리보기
신라 &lt;수구다라니&gt; 범자본 기초조사(2) - 발원자의 이름과 판본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65권 / 191 ~ 208페이지
    · 저자명 : 한재희

    초록

    수구다라니(隨求陀羅尼, Mahāpratisarā-dhāraṇī)는 7세기 이전 인도에서 제작되어 중앙아시아, 중국, 한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로 전파되며 대승불교 문화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독립적인 텍스트로 처음 제작된 수구다라니는 전파 과정에서 Pañcarakṣā(“Five Protectors”)와 『오대진언(五大眞言)』 등 다라니 문헌집에 수록되며 다양한 변형과 발전을 겪었다. 본 연구는 경주 남산에서 발견되어 1919년 조선총독부가 구입한 통일신라 시대의 산스끄리뜨 수구다라니에 대한 기초 연구를 다룬다. 2022년에 수행된 첫 번째 기초조사에서 다라니의 판독과 더불어, 파편으로 남아 있던 전체 구조를 복원하였으며, 다라니의 언어적 및 문자적 특징을 간략히 검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가능성을 검토한 후, 길기트, 인도, 네팔,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된 산스크리트 판본 및 보사유와 불공에 의해 번역된 한역본과의 비교를 통해 통일신라 수구다라니의 제작 및 전승 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7세기 말에서 8세기 중반 동아시아에서는 인도 및 중앙아시아 전통과는 다른 독자적인 산스끄리뜨 수구다라니 전통이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통일신라 수구다라니 범자본이 보사유 및 불공역과 구문에서 차이를 보이는 점에 비추어, 독립적으로 유통되던 산스끄리뜨 판본에 기반하여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영어초록

    The Mahāpratisarā-dhāraṇī (Chi. Suíqiú tuóluóní 隨求陀羅尼) was originally composed in India before the 7th century and subsequently transmitted to Central Asia, China, Korea, Japan, and several Southeast Asian countries, where i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flourishing of Mahayana Buddhist culture, particularly within its Esoteric traditions. Initially circulated as an independent text, it was later incorporated into dhāraṇī compendiums such as the Pañcarakṣā (“Five Protectors”) and the Odae Jin-eon (五大眞言, “Five Great Incantations”), reflecting various transformations and adaptations over time as the text was transmitted across regions.
    This paper presents a preliminary study of the Sanskrit version of the Unified Silla Mahāpratisarā- dhāraṇī, discovered at Gyeongju Namsan and acquir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19. Research conducted in 2022 included identification of the dhāraṇī and reconstruction of its entire structure, which previously existed only in small fragments. At this stage, I also briefly examined the linguistic and scrip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hāraṇī. Building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reviews the possibilities outlined in the initial study (2022), investigates the names of the donors mentioned in the dhāraṇī, and examines its composition and transmission processes by comparing extant Sanskrit Mahāpratisarā-dhāraṇī manuscripts from China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Through this analysis, I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Unified Silla Mahāpratisarā-dhāraṇī may have been based on a unique Sanskrit manuscript tradition, distinct from the versions translated by Ratnacinta and Amoghavaj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