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범국회의 유래와 거창 용산범국회의 전개 (A Study on the Origin of Beomgukhui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Geochang Yongsan Beomgukhui)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0.12
31P 미리보기
범국회의 유래와 거창 용산범국회의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75호 / 57 ~ 87페이지
    · 저자명 : 박기용

    초록

    重陽節 범국회의 유래는 2-3세기 경 중국에서 사람들이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경덕왕 때(765) 중양절 기록이 처음 나타났다. 고려시대에 는 문인들이 국화를 은일과 절조의 의미로 표현하였고, 조선시대 16-17세기에는 절개의 이미지로 정착되었다.
    용산범국회를 결성하게 된 동기는 여러 가지다. 동계의 정치현실에 대응하는 방식에 동조하는 사족들이 서로 교류하고 있었다는 점, 62세 때 모친상을 당하여 1630년부터 용산 선영 아래서 시묘할 때 후학을 지도하며 학맥을 형성하고 있었다는 점, 모인 사람들이 친족이거나 인척으로서 혼맥을 형성하고 있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그 결과 1636년 9월 9일에 落帽臺에서 5개 고을의 士族 21명이 용산범국회를 결성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이후 동계가 모리재에서 은거하다 생을 마치자 용산범국회 모임도 중단되었다. 그러나 후손들의 婚脈과 학문적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泛菊會 재개 움직임은 1898년부터 있었다. 조선의 국내외적 정국이 혼란하고 국권을 침탈하려는 외세의 위협에 회원의 재결속 필요성을 느꼈던 것이 재개의 동기였다. 그래서 1900년에 續契하였고, 1941년에는 모임을 하고 회원 명부를 작성하였는데 이때 회원이 모두 405명이었다. 1996년에 등록된 회원 수는 643명으로 늘어났고, 거주지는 嶺南 지역 중심에서 전국을 넘어 해외까지 확산되어 친목 모임으로 전개되고 있다.
    용산범국회는 정치사적 공동체의 성격, 관계공동체의 의미, 역사․문화적 공동체의 성격, 1996년 이후는 은 친목 단체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현재는 회원 수가 늘고 거주지가 확대되면서 회원 간의 학연․혈연 의식은 옅어졌으나 선조를 추모하는 마음은 확산되고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origin of Double Ninth Day(重陽節) Beomgukhui began around the 2nd-3rd centuries in China when people climbed mountains to drink hrysanthemum wine to pray for health. Then, it was until the 4-5th centuries that the meaning of chrysanthemum changed to seclusion because of Tao Yuanming(陶淵明). The records of Double Ninth Day first appeared in Korea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景德王) of Silla(765). During the Goryeo Dynasty, chrysanthemums were used by literati to mean seclusion and moderation, and during the 16-17th centuries of the Joseon Dynasty, they were mostly used in paintings as images of incision.
    There are several motives why the Yongsan Beomgukhui was formed. First, Donggye(桐溪) was working with local Nammyronghakpa(南溟學派) aristocrats to cope with the Manchu war and the misgoverment of the Gwanghaegun(光海君). Second, since 1630, when his mother died at his age of 62, he had mourned at the graves of his mother in Yongsan, training junior scholars and forming academic network. Third, people gathered there were relatives by blood or marriage. As a result, on September 9, 1636, twentyone noblemen from five villages gathered at Nakmodae(落帽臺) to form Yongsan Beomgukhui.
    Later, Donggye died in Morijae(某里齋), Buksang(北上), Yongsan Beomgukhui was also suspended. However, their descendants' connection through marriage and academic genealogy continued even after then.
    The move to reopen Beomgukhui had been in place since 1898.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ir descendants decided to unite again, feeling threatened by the foreign forces which seemed to have intention to violate Joseon's national sovereignty as well as Joseon's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situation in great disorder. Thus, the meeting was resumed in 1900. In 1941, they held a meeting and made a list of members; a total number was 405. Then, the number of registered members increased to 643 in 1996. Besides, the members' residences spread from the center of Yeongnam area to overseas.
    Yongsan Beomgukhui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it served as a political and ideological community. Second, it was a group sharing a common destiny with academic and blood ties. Third, it was a historical and cultural community to unite against foreign forces at the end of 19th, when their descents resumed the meeting. Fourth, it changed like a social group after 1996.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