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인과 국가의 길항과 주체의 위기 - 1970년대 희곡 「파수꾼」과 「우리들끼리만의 한번」을 중심으로 - (The Antagonism between the State and the Individual and the Crisis of the Subject ― Focused on the Plays from the 1970s, Pasukkun and Urideulkkirimanui Hanbeon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5.03
24P 미리보기
개인과 국가의 길항과 주체의 위기 - 1970년대 희곡 「파수꾼」과 「우리들끼리만의 한번」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60호 / 537 ~ 560페이지
    · 저자명 : 정현경

    초록

    본고는 이강백의 희곡 「파수꾼」(1973)과 이현화의 희곡 「우리들끼리만의 한번」(1978)을 통해 1970년대 국가와 개인 주체의 길항 관계를 추적하였다. 1970년대 텍스트에 나타난 개인의 주체화와 주체의 위기에 대한 탐색은 1970년대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넘어 감시와 통제의 권력과 대립하는 개인 주체와의 길항관계에 대한 보편성에의 탐구라는 의미를 지닌다.
    두 편의 희곡 텍스트에는 공통적으로 체제 유지를 위하여 개인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절대 권력이 등장한다. 기만적인 공포신화를 생산 ‧ 유포하는 절대군주적인 ‘촌장’과 주체화된 개인의 사적 공간까지 침투하는 ‘소리’로서의 이들 절대 권력은 독점적인 감시 권력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전체주의 절대 권력에게 인식 주체로서의 개인은 위해(危害) 세력이자 ‘내부의 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에 위배되는 ‘개인’과 주체로서의 개인을 억압하는 ‘전체’는 서로를 존폐 위기에 빠뜨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1970년대라는 시대 상황 속에서 창작된 두 편의 희곡에서 결국 위기에 봉착하는 존재는 주체화된 개인이다. 「파수꾼」에서 ‘파수꾼 소년 다’는 절대 권력의 모순과 기만성에 대한 인식에 이르나 결국 그것을 공표할 수 있는 언술 주체에 이르지 못하면서 축출경외되고 만다. 한편 「우리들끼리만의 한번」은 개인 주체의 죽음이 희생제의가 되면서 다른 인식 주체의 등장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1970년대에 창작된 두 편의 텍스트를 통해 주체의 진정한 위기는 개인 주체가 절대 권력과 대립할 때 직면하는 것이라기보다 개인 주체가 주체되기를 포기할 때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텍스트는 실천적인 주체의 복원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justice of systematic censorship requires an individual’s self-censorship. In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Performance Act’ was signed into law in December, 1961, when the military coup broke out. The control and censorship of art and culture was institutionaliz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By the way, the establishment of Public Performance Act meant they resumed the censorship like the Japanese Colonial Rule. Public Performance Act under Yushin regime compelled self-censorship of authorities as well as artists and creators. Therefore, in reading cultural and artistic texts of the day with strict censorship, we should consider the creator’s political unconscious.
    In this paper, based on the facts, we retraced the antagonistic relation (or conflict) between the state and the individual in the 1970s through Lee Gang-baek’s play, Pasukkun, and Lee Hyeon-hwa’s play, Urideulkkirimanui Hanbeon. The study on the subjectification of the individual and the crisis of subject in the texts from the 1970’s is the way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Korean society in the 1970s. In addition, it is the way to comprehend the universality of the standoff between the power of control and surveillance and the individual.
    In these two plays there is absolute power in common that controls and suppresses the individual for regime maintenance. The despotic ‘Village Headman’ who creates and scaremongers horror myths and ‘the Sound’ that permeates the subjectificated individual’s private space appear in the plays. Both of them have a trait of exclusive surveillance authority.
    The individual is a dangerous power and ‘the internal opponent’ to totalitarian absolute power. Thus ‘the individual’ rejecting totalitarianism and ‘the whole’ suppressing the individual cannot but drive each other into the crisis of maintenance or abolition. However, in the two plays written in the social situation of the 1970s, the one eventually in danger of crisis is the subjectificated individual. ‘The Watcher Boy Da’ in Pasukkun comes to realize the contradiction of absolute power and its deceitfulness, however, he does not attai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of discourse that can announce it and he ends up to be banished. On the other hand, Urideulkkirimanui Hanbeon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mergence of another subject, the death of an individual subject becoming the commemorative rites for the victim.
    The view on the text limited to a time in the past, the crisis of the individual subject before power or totalitarian ideology cannot be easily explained. Besides, the reason that the individual subject should be restored cannot be explained, either. The matter of the subject is deeply involved with the specific social situation of the day, however, it is the concept to be comprehended universally beyond time and space.
    The real crisis of a subject occurs when he or she gives up to be a subject. Thus the above texts can be said to propose the necessity of restoring the practicing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