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미적 판단과 목적 없는 합목적성-칸트의 취미판단의 세 번째 계기에 대한 헤겔의 해석 (Ästhetisches Urteil und Zweckmäßigkeit ohne Zweck)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08.12
25P 미리보기
심미적 판단과 목적 없는 합목적성-칸트의 취미판단의 세 번째 계기에 대한 헤겔의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헤겔학회
    · 수록지 정보 : 헤겔연구 / 24호 / 129 ~ 153페이지
    · 저자명 : 서정혁

    초록

    칸트는 취미판단의 세 번째 계기로 ‘목적 없는 합목적성’을 주장한다. 칸트에 의하면 아름다움은 ‘합목적성이 목적의 표상 없이 어떤 대상에서 지각되는 한에서 이 대상의 합목적성의 형식’이다. 헤겔은 자신의 『미학강의』에서 이 ‘목적 없는 합목적성’을 식물이나 동물의 경우에 비유하면서, 목적의 실현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헤겔의 해석은 ‘수단을 통해 목적이 이미 실현된 상태’를 전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종의 ‘객관주의적 입장’으로서, 칸트 자신의 입장과는 거리가 있다. 이 입장에서 헤겔은 ‘합목적성’을 ‘직관적 오성’과 결부시킨다. 그런데, 칸트도 『판단력 비판』에서 합목적성과 직관적 오성 사이의 관련성을 피력하고 있다. 칸트에 의하면 ‘목적 없는 합목적성’에서 목적은 없더라도 ‘목적에 의한 인과성’, 즉 ‘어떤 규칙에 따라 객체나 심적 상태, 행위 등을 그렇게 정해 놓은 하나의 의지’는 상정되어야 한다. 그래서 이 의지의 관점에서 보면, ‘목적 없는 합목적성’은 정말 목적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이 심미적 판단을 내릴 때 특정한 목적을 고려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점에서 칸트의 고유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헤겔의 해석과 친근한 맥락에서 칸트의 주장을 해석할 수도 있으며, 『판단력 비판』은 칸트 이후 독일 관념론의 전개 과정에서 확대 해석될 여지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In Kritik der Urteilskraft sagt Kant, Schönheit ist Form der Zweckmäßigkeit eines Gegenstand, sofern sie ohne Vorstellung eines Zwecks an ihm wahrgenommen wird. In Vorlesungen über die Ästhetik anführt Hegel irgendein Naturprodukt, z. B. eine Pflanze, ein Tier als Beispiele der 'Zweckmäßigkeit ohne Zweck'. Hegel umdeutet dieses Prinzip 'Zweckmäßigkeit ohne Zweck' vom Standpunkt der Realisierung des Zwecks. Hegel's Umdeutung ist ein Objektivismus, denn Hegel voraussetzt 'Realisierung des Zwecks durch Mittel'. Diese Umdeutung ist verschieden von Kant's Standpunkt. Hegel bezieht dieses Prinzip der Zweckmäßigkeit auf intuitiven Verstand. Aber in Kritik der Urteilskraft äußert sich auch Kant über den Zusammenhang zwischen Zweckmäßigkeit und intuitiven Verstand. Kant sagt, ein Objekt oder Gemütszustand oder eine Handlung heißt zweckmäßig, wenngleich ihre Möglichkeit die Vorstellung eines Zwecks nicht notwendig voraussetzt, bloß darum, weil ihre Möglichkeit von uns nur erklärt und begriffen werden kann, sofern wir eine Kausalität nach Zwecken, d. i. einen Willen, der sie nach der Vorstellung einer gewissen Regel so angeordnet hätte, zum Grunde derselben annehmen. Deshalb können wir nicht im absoluten Sinn von einer 'Zweckmäßigkeit ohne Zweck' sprechen, sondern immer nur von einer Zweckmäßigkeit ohne irgendeinen bestimmten Zweck. 'Zweckmäßigkeit ohne allen Zweck' kann es nicht gegeben. Vom diesem Standpunkt ist es möglich zu interpretieren Kant's Behauptungen im Zusammenhang mit Hegel's Umdeutungen, und deshalb ist es auch möglich zu interpretieren Kritik der Urteilskraft weiter aus Ausführung des deutschen Idealismus nach Ka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헤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