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이버대학교 일본어교육에서 스마트 피드백의 활성화 - <강의Q&A>를 중심으로 - (Activating Smart Feedback of Japanese Education in Cyber University : Focused on the Q&A Operation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6.11
18P 미리보기
사이버대학교 일본어교육에서 스마트 피드백의 활성화 - &lt;강의Q&amp;A&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어교육연구 / 37호 / 197 ~ 214페이지
    · 저자명 : 황영희

    초록

    본고는 학습자의 일본어능력 향상을 위해 사이버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스마트 피드백의 실태와 과제에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H사이버대학교 일본어학습자 264명에게 2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통해 온라인 강의실 피드백의 실태에 관한 3년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고는 사이버대학교 콘텐츠개발관리시스템의 하나인 <강의Q&A>를 중심으로 한 피드백 양상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자료로서 앞으로 온라인일본어교육에서 스마트 피드백의 활성화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설문조사에서 학습자들의 강의실내 <강의Q&A>의 이용 실태와 의식 및 태도를 분석한 후, 스마트 피드백 활성화를 위한 학습자 요구사항을 영역별로 정리하면서 학습지원전략에 대한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를 설문 순서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수 있다.
    (a) <설문1> 학생의 자발적인 <강의Q&A> 참여는 다소 낮은 편이다. 예를 들어 일본어발음 수업은 음성대화를통해 보다 적극적인 학생의 학습동기 유발이 요구된다. <강의Q&A>의 질문내용을 카테고리화하여 학습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중요한 질문에 대한 FAQ 제공 및 답변 알림 기능, 알찬 내용의 피드백에 대한 표시, 실시간 응답, 동영상의 용량 확대, 동영상을 통한 원어민의 발음 제공, 밴드 등 SNS의 활용, 다른 학습자의 질문미리보기 기능, 피드백을 확대하여 별도로 제시하는 기능, 자막 제시 등 학습자 편의를 위한 기술적 지원도 필요하다.
    (b) <설문2> <강의Q&A>의 횟수를 성적에 반영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며 학습자의 부담이 크다. <설문3> 교수자의 피드백은 학습자의 일본어 지식의 습득에 활용되고 있다. <설문4> 학생 상호피드백은 비교적 일본어학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설문5> 피드백은 강의운영에 관한 내용보다는 일본어 지식에 관한 내용에 집중되어 있다.
    (c) <설문6> 학습자가 선호하는 강의실 내의 피드백 형태는 <강의Q&A>이며, 피드백에 대한 익명성과 즉시적인 답변의 확인이 용이하다는 것이 이유이다. <설문7> 이미 운영되고 있는 모바일 Q&A 기능 등에 대해서는 학습자에게 사전에 숙지시킬 필요가 있다. 학습자는 보다 광범위한 예시를 통한 피드백을 바라고 있으며 학습자들의 상호피드백에 대한 신뢰성의 부족과 정확성의 부족도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current states and activating of smart feedback at a cyber university in response to the educational paradigm shift brought by the proliferation of mobile devices. This feedback system shift was recorded and studied in a survey of 264 Japanese students at the Hanyang Cyber University, conducted two times over a span of three years. The contents of this paper allows us to see the change of smart feedback that occurred during the past three years. The rapid transition to a smart campus at the cyber university is a significant area for analysis as it can offer insights into the future direction of activating smart feedback improvement.
    In this study,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s were analyzed when exposed to a smart feedback situation in order to activate smart feedback on what the learner need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urvey can be seen in the following points: (a) <Q1>Voluntary Q&A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lectures is slightly lower. For example, pronunciation class is required for the induction of activating students’ motivation through verbal conversations. There is a need to categorize questions in Q&A to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Including for FAQ offers and answers reminders, important question locations and display of fruitful feedback, real-time responses and expansion of the video capacity, the native speakers such as videos, use of the SNS like BAND, preview the question of other learners function feedback,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echnical support for learner’s amenities including separate presentation, subtitle suggests.
    (b)<Q2>It is negative and greater burden for the learner to reflect the number of times lecture Q&A to grades.
    <Q3>Teachers feedback has been used to acquire knowledge of Japanese. <Q4>Student mutual feedback can be said that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vely Japanese language. <Q5>Feedback is focused on content for Japanese knowledge rather than information about the lecture operations.
    (c)<Q6>Feedback form which learners prefer in the classroom is Q&A and 1:1 counseling because of immediate respond time and anonymity. This board has shown a high rate. <Q7>The learners are hoping this feedback through a more extensive example. In addition, the trust for mutual feedback from learners may be lack and inaccuracy.
    Finally, I wish that this paper’s conclusion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for the study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and further development, and embodies the discourse on language education in the smart feedback of cyber univers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어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