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력충돌시 비국가행위자의 사이버공격에 대한 국제인도법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during Armed Conflicts to Cyber Attacks by Non-State Actor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6.06
28P 미리보기
무력충돌시 비국가행위자의 사이버공격에 대한 국제인도법의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법평론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평론 / 44호 / 71 ~ 98페이지
    · 저자명 : 오현철

    초록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rama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cyber attacks, both by nations and non-state actors. However currently, there are no provisions in the international laws of war that explicitly out law or even regulate cyber warfare. Furthermore, given the rise of the non-state actors importance and influen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quite troubling that these international laws of war only apply to state actors.
    As cyber attacks increase, Non-state actors like civilian hackers and hacktivists will play a larger role in combat. Their presence on the battlefield poses unique challenges to applying the Law of Armed Conflicts(LOAC). The LOAC has a preference for civilian and prisoner of war statuses. Along with specific statuses come protection from targeting and immunity from criminal prosecution.
    These two factors together, the LOAC’s preferences and the dual dimensions in which cyber attacks occur, allow non-state actors to enjoy the best of both status worlds. As civilians that enjoy protection from direct attack, they may fight without forfeiting their status due to the difficulty of proving direct participation in hostilities. If captured, non-state actors may claim prisoner of war status and enjoy immunity from prosecution despite being unlawful combatants. The LOAC must prevent hackers and hacktivists from occupying the gray area of unlawful combatants by making the law more black and white. States should be given a choice: either directly incorporate them into armed forces or apply to those individuals a broader interpretation of direct participation in hostilities, effectively eliminating the presumption of prisoner of war status. This new approach is necessary to ensure that non-state actors face the same risks as other unlawful combatants.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rama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cyber attacks, both by nations and non-state actors. However currently, there are no provisions in the international laws of war that explicitly out law or even regulate cyber warfare. Furthermore, given the rise of the non-state actors importance and influen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quite troubling that these international laws of war only apply to state actors.
    As cyber attacks increase, Non-state actors like civilian hackers and hacktivists will play a larger role in combat. Their presence on the battlefield poses unique challenges to applying the Law of Armed Conflicts(LOAC). The LOAC has a preference for civilian and prisoner of war statuses. Along with specific statuses come protection from targeting and immunity from criminal prosecution.
    These two factors together, the LOAC’s preferences and the dual dimensions in which cyber attacks occur, allow non-state actors to enjoy the best of both status worlds. As civilians that enjoy protection from direct attack, they may fight without forfeiting their status due to the difficulty of proving direct participation in hostilities. If captured, non-state actors may claim prisoner of war status and enjoy immunity from prosecution despite being unlawful combatants. The LOAC must prevent hackers and hacktivists from occupying the gray area of unlawful combatants by making the law more black and white. States should be given a choice: either directly incorporate them into armed forces or apply to those individuals a broader interpretation of direct participation in hostilities, effectively eliminating the presumption of prisoner of war status. This new approach is necessary to ensure that non-state actors face the same risks as other unlawful combat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