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른 사이버범죄의 진화와 범죄현상의 조명 및 대응 (Comprehension and Countermeasure in the Evolution of Cybercrime and Its Phenomena in Accordance with Technology Development)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0.03
31P 미리보기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른 사이버범죄의 진화와 범죄현상의 조명 및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19권 / 1호 / 171 ~ 201페이지
    · 저자명 : 이병종

    초록

    컴퓨터에 뒤이어 현대기술 발명의 상징인 ‘인터넷’과 ‘디지털’ 시대로 들어옴에 따라, 오늘날 우리 인류는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폭발적인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게 됨에 따라 삶의 풍요와 생산성의 향상으로 큰 혜택을 누리고 있다. 그러나 가상공간에서의 정보 기회의 확대는 사이버범죄의 확대로 이어지게 됨으로서 일반대중은 물론이고 사회적인 두려움도 늘고 있다. 사이버범죄는 컴퓨터에 내장된 고객이나 가격정보의 불법활용과 같은 단순한 범죄로부터 디도스, 피싱과 같은 사이버테러와 인터넷웜과 같은 바이러스, 소프트웨어 해적행위, 사이버스토킹, 전자사기, 불로그 등의 음란물과 성폭력, 허위사실 유포와 악플 등의 피해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무선통신의 발달로 휴대폰, 노트북과 개인정보 단말기 등과 관련된 디지털범죄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통적 범죄가 ‘노상범죄’라고 한하면 오늘날 21세기 새로운 범죄는 ‘키보드’에 의해 저질러지는 사이버범죄로 변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이버범죄는 컴퓨터가 민간 및 공공 부문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1990년대 인터넷이 성행되고 디지털기술 등의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의 확대에 따라서 생성된 개념이며, 그 이론적 뿌리는 화이트칼라범죄에 기원을 두고 있다. 사이버범죄에 대해서는 그동안 단편적인 연구는 많이 존재하였으나 범죄의 개념 정립에 관한 총체적 접근이 없었기 때문에 용어의 이해와 범죄현상의 파악과 대응의 문제점이 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이버범죄의 진화와 개념의 정립, 범죄현상의 파악을 통해 이에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코자 한다. 사이버범죄는 단일현상이라기보다는 정보네트워크와 통신테크놀로지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가상공간이 주축이 되어 야기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이버범죄는 컴퓨터, 인터넷, 조직적인 네트워크 그리고 디지털기술과 같은 전자적 장비를 활용하여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불법적 행위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최근 디지털 기술과 관련이 늘고 있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조직범죄, 각종 극우파, 산업스파이, 전자상거래의 교란, 해커기술의 첨단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아동포르노그래피 그리고 테러리즘 등등에 관련된 사이버범죄들이 난무함에 따라, 사이버스페이스에 맞는 효율적인 경찰활동이 새롭게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 경찰활동의 역할의 변화와 함께, 사이버범죄가 증대된 만큼 사이버 경찰활동의 역량제고를 위한 ‘디지털실체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범죄학 이론과 관련하여서는 지리적 경계가 없는 범죄행위지, 능력과 기술을 갖춘 범죄자 그리고 사이버범죄의 올바른 이해가 요구된다. 제도적 개선을 위해서는 사이버범죄관련 법률의 체계적 정비와 국제적 형사공조, 그리고 범죄의 신속한 대응을 위한 수사권의 확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현실세계에서 윤리가 정립된 것처럼 가상공간에서의 윤리의 확보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brought in their wakes them significant changes, a lot of benefits and enhancement of productivity in the ways we work, trade, study, play, consume, communicate and interact. Politicians, businessmen, police and citizens now have a new jargon with which to identify such dangers: hacking, spoofing, phishing, viruses, Trojans, malware, piracy, downloading, spyware, cyberstalking, cyber obscenity, cyber fraud, and so on. In this point, a dramatic paradigm shift from crime on the street to crime by keyboard has been occurred.
    Although we say the word, cybercrime in common nowadays, it has been not so long since we have used the word because computers were put into force in the seventies and internet was born in nineties. The concept, Cybercrime is fused and mingled with the usages of other similar words, for example, computer crime, internet crime, hitech crime, intelligence crime, network crime, credit crime, eavesdropping, not understood throughly and not unified in its meaning. Therefore, unfortunately, law enforcement, public and private are confronted with a new set of crimes, criminals, and techniques for that they are not well prepared. In this respect, how to understand, explain, respond and manage the cybercrime are regarded to be crucial aspects not only to overcome the epidemic crime but also to catch up with the on-going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his regard, managing and establishing policies against the cybercrime and training for the people concerned are not well controled. Bearing in mind the said problems, the following steps are reviewed to redefine what the cybercrme is and will be in the coming years not only to cope with but also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 first, chronological and theoretical review of the cybercrime, second, the evolution of cybercrime and its' current phenomena, third, the redefining of related terminologies to the cybercrime, fourth, comprehension and countermeasure in the evolution of cybercrime and its phenomena.
    The theory of cybercrime is rooted in the meaning of white color crime by Sutherland in the late 1930. The term ‘cybercrime’ is widely used today to describe the crimes or harms that result from opportunities created by networked technologies. Its origins lie in science fictions across the cyberspace. As a result, it is born in the midst of fiction and science and finally anchored with the mixture of terms such as computer crime and other terms. On conclusion, cybercrime can be defined use of computers, internet, organizational networks, digital technique via information technology to facilitate illegal behaviors.
    To comprehend and countermeasure in the evolution of cybercrime and its phenomena in accordance with the technology development, the following steps are recommended: First, the traditional pattern of policing and criminal justice be adapted to the new role for them because the new crime, cybercrime demolishes the current geographical boundaries of the world. Second, experts for IT as well as other professional gurus including finance be recruited to catch up with the rapid increase of cybercrime. Third, the current criminology be adjusted to the new challenges that the current theory of routine activity based on the real world may be not applicable in the virtual world due to the abolishment of time and space barrier in the virtual world. Fourth, it be focused that the traditional criminals are from poor background in society but criminals in the cyberspace are relatively educated with skills and good incomes. Fifth, laws and regulations which are related with the cybercrime be systemized because the concerned laws are scattered here and there, remaining no law concerning cyberstalking is enacted. Last, cyber ethics be established as early as possible like the ethics on the mundane world with all the concerned parties such as government, internet service provider, citizens participa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