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에서의 대처경험 (Coping Experience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6.06
40P 미리보기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에서의 대처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사회복지실천과 연구 / 13권 / 1호 / 213 ~ 252페이지
    · 저자명 : 김소희, 배진형

    초록

    북한이탈주민으로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사이버대학생들은 지역사회복지기관 등에서 실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북한문화 및 교육체계의 차이와 언어소통, 직장병행, 건강상의 어려움, 사회적 편견 등이 더해져 일반학생들과는 다른 어려움들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생들이 실습에서의 다양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대처경험의 본질을 파악하여 지역사회실습기관과 학교에서의 더욱 체계화된 실습지도에 반영코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실습을 수행한 북한이탈주민 G사이버대학생 중 의도적 표본추출방법을 통해 선정된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녹취된 원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방법에 의거한 개방코딩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이 실습 상황에서 당면한 다양한 도전들에 대처하는 방식으로 41개의 개념, 15개의 하위범주를 통한 5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발견된 각 범주는 첫째, 자신을 드러내지 못함, 둘째, 한정된 자원을 최대한 동원하려 애씀, 셋째, 주어진 상황과 타협하며 노력해 나감, 넷째, 생소한 상황에 적응하고 업무를 배우고자 적극적으로 나섬, 마지막으로 새로운 관계 맺음을 소중히 하고 발전시킴이었다.

    영어초록

    Increasing numbers of North Korean defectors enter universities, major in social welfare and participate in field practicum that is the requirement course. During the time of the field practicum, they experience many difficulties resulting from cultural/educational differences, language, balancing with their work, health problem and social prejudice. Their coping styles toward those difficulties are influential factors that could effect on their educational outcome.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cope with many different situations that they faced in their field practicum. The result would help on development of effective field education in both sides of universities and community agencies. 6 north Korean female defector students were recruited by the purposive sampling, and data were gathered by in-depth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open coding by constant comparison as the intial analysis method in grounded theory. 41 concepts, 15 sub-categories and 5 categories came out. The coping styles they used were problem-centered and social support style more, than emotional or avoidant style, and that means moving gradually from negative coping toward positive coping. As the result, the categories were 1)not expressing themselves, 2)trying to utilize limited resources that they have, 3)making efforts to negotiating the given situations, 4)adjusting and learning actively, 5)valuing and developing new relationships established in the practicum. Based on the result, more systematic support from the sides of the field work agencies and schools to develop their positive coping style were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