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화 『아키라』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사이버펑크’와 ‘네오휴머니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orytelling Strategy on Comics 『Akira』 Focused on Cyberpunk, and Neo-humanism)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3.12
21P 미리보기
만화 『아키라』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사이버펑크’와 ‘네오휴머니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애니메이션연구 / 9권 / 4호 / 145 ~ 165페이지
    · 저자명 : 윤혜영

    초록

    만화 『아키라』 한국어판이 발매되며, 만화계뿐 아니라 많은 이들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특히 만화뿐 아니라애니메이션이 전 세계에 개봉되면서 서양이 보는 '망가'로서의 『아키라』는 충격적이었다. 이러한 여러 반응과 다양한 담론을 생성한 『아키라』를 '사이버펑크'적 측면과 '네오휴머니즘'적 측면으로 분석한다.
    먼저 작가가 기술을 바라보는 자세는 비판적이다. '인간의 욕망을 위한 기술 개발, 그 기술로 인한 피해, 피해 예방과 복구를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라는 무한히 반복되는 사이클 속에 살고 있는 인간을 작가는 진지한 자세로 지적하고 있다. 또한 권력에 대응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으며, 권력이 어떻게 인간을 감시, 억압하는 지에대한 방법을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 이론에 빗대어 해석해 보았다. 그러나 '사이버펑크'적 측면으로만 이 작품이 해석된다면, 이야기 주체에 대한 고찰에는 빈틈이 생긴다. 즉 이야기의 주체인 인간에대한 깊이 있는 해석이 가능해야 할 것인데, 그 부분을 '네오휴머니즘'을 통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네오휴머니즘’은 기계가 아닌 인간만이 가진 속성들, 인간적인 부분들에 집중한다. 즉 인간을 기계화함으로써 더욱 강해지려는 것을 반대하고, 인간이 가진 나약함, 세계 앞에 취약한 존재임을 오히려 부각시킨다. 작품 내에서드러나는 것은 새로운 절대자에 대한 숭배, 그를 통한 정치 경제적 압박에서의 자유와 평등이다. 또한 인간이 가진나약함의 속성으로 고통과 통증을 그리고 있다. 정체성의 분리와 해체를 신체의 파괴와 변이로 본다면, 인간으로서 가진 한계를 고통으로 표현하고 있다.
    『아키라』가 기계 문명과 미래 세계를 그리고 있다는 표면적인 층위에만 머물러서는 작품의 깊이 있는 해석이 불가능하다. 실제로 작가는 이러한 디스토피아적 미래 세계를 통해 새로운 세계를, 파괴적 양상을 통해 부활을, 저항을 통해 화합을, 기계 문명을 통해 인간을 이야기하고 있다.

    영어초록

    As <Akira> is published in Korean, many people as well as ones in the comics fieldstarted to concentrate on it again. It is appraised as a monumental work, as saidit changed the performance in Japanese comics. Since the animation <Akira> was releasedall over the world, the western people were shocked. <Akira>, which created avariety of reactions and discourses, will be analyzed in the view of 'cyberpunk', and'neo-humanism'.
    First the writer views the technology critically. Sometimes it is admired, but sometimesridiculed. People develop technique for their desire, and they're damaged, and thenthey develop the new technology to prevent and recover the damage. The writer criticizesthe human living in this infinitely repeated cycle seriously. And the issue aboutpower is pointed out. It describes the human reacting to the power, and how the powerwatches and suppresses the human with concrete and abstract images. It will be analyzedwith the Michel Foucault.
    The story and theme are explained only with cyberpunk and techno Orientalism, thechance will be missed to think about the subject, human. That is, the subject of thestory, human should be analyzed more deeply. It can be explained with neo-humanism.
    Neo-humanism focuses on the very human things, such as the attributes only humanhas. It opposes the idea, that human can be more powerful with mechanization. Itbrings out human weakness, and fragility facing the powerful world. Therefore it sayswe are looking for real humanism. It is shown in the work as the human worshiping thenew absolute being, and freedom and equality from political and economical pressurein front of god. Also it describes the agony and pain, as one of the human attributes. Ifseparated and broken up identity is shown as destroyed and mutated body, the painsymbolizes the limit of human.
    If <Akira> is read only with the layer that it shows the machine civilization and futureworld, it is impossible to interpret it profoundly. Actually the writer may want to talkabout new world through the cruel dystopia, revival through destruction, reunionthrough resistance, human through techn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