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이버공간에서의 범죄피해자 보호 방안 - 사이버폭력, 사이버성범죄, 사이버사기를 중심으로 - (Measures to protect crime victims in cyberspace - Focusing on cyberbullying, cyber sex crimes, and cyber fraud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3.01
33P 미리보기
사이버공간에서의 범죄피해자 보호 방안 - 사이버폭력, 사이버성범죄, 사이버사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형사법연구 / 24권 / 4호 / 95 ~ 127페이지
    · 저자명 : 이원상

    초록

    사이버범죄가 창궐하면서 사이버범죄자에 대한 대응정책과 관련 연구들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그에 반해 사이버범죄 피해자를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한 노력은 상대적으로 더딘 행보를 보인다. 이처럼 사이버범죄에 대한 관점이 범죄자 쪽으로 상당히 기울어져 있으므로 사이버범죄 피해자를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한 관점으로 평행 추를 이동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공간에서의 범죄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만,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 유형이 매우 다양하므로 한국에서 지속해서 범죄 피해통계를 산출하고 있는 범죄유형인 사이버폭력, 사이버성범죄, 사이버사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로, 사이버폭력의 경우 형식적 예방 교육이 아닌 실질적이고 프로그램 방식의 예방 교육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사이버폭력 피해자의 신고율을 높여 사이버폭력이 암수범죄로 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사이버폭력은 주로 아동·청소년을 중점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성인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이버성범죄와 같이 사이버폭력 처벌 규정 및 피해자 보호 규정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로, 사이버성범죄의 경우 범죄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률적 근거는 상대적으로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사이버성범죄를 처벌하기 위한 다양한 처벌 규정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개별법을 통해 사이버성범죄 피해자를 위한 다양한 보호장치들도 마련되어 있다. 이제는 그런 형식적 장치들이 실질화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를 위해 수사기관 및 사법부의 사이버성범죄 인식 개선 노력과 사이버성범죄 피해자 친화적인 수사 관행이 자리를 잡아야 할 것이다. 또한 사이버성범죄 지원센터가 형식적으로 운영되지 않도록 인력확충과 예산충원이 요구된다. 그리고 유럽 사이버범죄 방지협약과 같은 국제협약에 가입하여 해외를 근거로 한 사이버성범죄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로, 사이버사기의 경우 그 피해가 막대하지만, 여전히 피해자 보호에는 미흡한 부분이 많다. 그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급정지 제도를 개선하고, 사이버사기범의 이익을 몰수 및 범죄이익을 환수하는 것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그렇게 환수한 이익이 피해자에게 가능한 한 빨리 환급될 수 있도록 조금 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그를 위해 독립몰수제와 같은 제도가 도입될 필요성이 있다.
    사이버범죄 피해자는 시공간을 넘어 지금도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사이버범죄 피해자보다 범죄자에게 좀 더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이버범죄 피해의 성역은 없다. 누구나 사이버범죄 피해자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사이버범죄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관점으로 평형추를 옮겨야 한다. 그리고 범죄피해자 보호를 위해 형식적으로 법률만 제정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법률에 따라 현장에서 실질적인 범죄피해자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With the outbreak of cybercrime, the response policy for cybercriminals continues to increase. On the other hand, efforts to protect and support victims of cybercrime are relatively insufficient. As such, since interest in cybercrime is quite inclined toward criminals,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interest toward victims of cybercrime. Therefore, in this paper, we looked at ways to protect crime victims in cyberspace. Since the types of damage in cyberspace are very diverse, we have reviewed cyber violence, cyber sex crimes, and cyber fraud, which continue to calculate crime damage statistics in Korea.
    As a result, first, in the case of cyber violenc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practical prevention program method. In addition, the reporting rate of victims of cyber violence should be increased, and the credibility of investigative agencies' response to cyber violence should be increased. In addition, cyber violence response policies are mainly centered on adolescents, and policies covering adults should be prepared. Second, in the case of cyber sex crimes, the legal basis for protecting crime victims is relatively sufficient. However, in practice, the law does not seem to be applied properly. In particular,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secondary damage by investigative agencies. In addition, the cyber sex crime support center should be expanded and budgeted so that it can actually operat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effectively respond to cyber sex crimes committed on the basis of overseas by joining international agreements. Third, in the case of cyber fraud,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confiscate the perpetrator's criminal proceeds and compensate the victim for the loss. To that end, efforts should be made to expand the payment suspension system and actively recover the criminal proceeds of cyber fraudsters. And the profits recovered should be refunded to the victim as soon as possible.
    Victims of cybercrime are occurring at this time as well. However, in reality, more attention is focused on criminals than victims of cybercrime. There is no sanctuary for cybercrime damage. Anyone can be a victim of cybercrime. In order to protect victims of cybercrime, it is not just a formal enactment of laws, but a little more effort should be made to ensure that the laws can actually protect crime damage in the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형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