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성(水城)과 미즈키(水城)의 관련성에 대하여 -故 전영래 선생의 백제부흥운동 연구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useong(水城) and Mizuki (水城) - With a focus on the late Mr. Yeongrae Jeon’s research of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9.12
30P 미리보기
수성(水城)과 미즈키(水城)의 관련성에 대하여 -故 전영래 선생의 백제부흥운동 연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마한백제문화 / 34권 / 64 ~ 93페이지
    · 저자명 : 이다운

    초록

    본고에서는 故 전영래 선생이 전북의 고대산성조사보고서를 편찬하면서 제시한 지도에 기초해 정읍・부안 일대의 백제부흥운동 관련 방어체계와 일본 다자이후(太宰府) 일대에 나당연합군의 침략에 대비해 구축한 방어체계 속에서 나타나는 수성(水城)과 미즈키(水城)를 중심으로 그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663년 백강구 전투의 패전으로 백제부흥운동이 실패로 끝나고 일본 북부 규슈에 쌓은 미즈키, 오노 성(大野城), 기이 성(基肄城)은 모두 다자이후라는 관청을 지키기 위해 쌓은 방어시설이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오노 성과 기이 성은 백제의 고관이었던 달솔 억례복류와 달솔 사비복부가 665년에 축조하였는데, 664년에 축조한 미즈키도 백제 유민이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방어체계는 백제부흥운동의 격전지 정읍・부안에서도 확인된다. 바로 주류성에 해당하는 우금산성, 중방성에 해당하는 고사부리성, 그리고 수성 등이다. 미즈키가 다자이후를 방어하기 위해 축조하였듯이 수성도 중방성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하였다.
    이러한 추정에는 이곳이 백제부흥운동의 격전지라는 전제 조건이 뒤따르는데 전영래는 일찍이 우금산성을 주류성, 동진강을 백강에 비정하였다. 특히 우금산성에 인접한 고청림사지에서는 지방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중앙의 기와 제작기술로 만든 양질의 수막새가 출토되고 있어 우금산성이 주류성에 해당한다는 견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백제는 지방을 5방으로 나누고 장관직으로 달솔의 관등을 가진 자를 파견하였다. 다자이후의 방어체계를 구축한 백제 유민도 관등이 달솔이었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즉 중방성의 지방장관 달솔이 백제부흥운동 시기에 구축하고 경험한 방어체계를 다자이후에 적용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a research was ma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seong(水城) that was constructed as part of defense system for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in Jeongeup and Buan, and the Mizuki (水城) that was built in preparation for invasion of Shilla-Tang allied forces against Dazaifu (太宰府) area of Japan, based on the map which the late Mr. Yeongrae Jeon presented for compiling a report on the ancient mountain fortresses in Jeonbuk area.
    Mizuki, Ono Castle (大野城) and Kii Castle (基肄城) were built all in Kyushu in northern Japan for defending the government office Dazaifu after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ended in failure following the defeat of the battle at Baekgang-gu in 663. According to 『Nihon Shoki (日本書紀)』, Ono and Kii Castles were built in 665 by Dalsol Eokryebokryu and Dalsol Sabibokbu who were Baekje's high officials. The Mizuki constructed in 664 was also presumed to have been built by Bekje’s migrants. Such defense system as this is confirmed in Jeongeup and Buan, too, the fiercest battle place of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It includes Ugeum Mountain Fortress which is equivalent to Juryu Fortress, Gosaburi Fortress which is equivalent to Jungbang Fortress and Suseong. Just as Mizuki was built to defend Dazaifu, the Suseong was also constructed to defend Jungbang Fortress.
    This way of presumption entails the premise that this was a fierce battle place for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Yeongrae Jeon earlier compared Ugeum Mountain Fortress to Juryu Fortress and Dongjingang River to Baekgang River. In particular, high-quality convex tiles made by the tile making technology of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was rarely seen in the province were unearthed from the site of Gocheonglim Temple, adjacent to Ugeum Mountain Fortress, supporting the view that Ugeum Montain Fortress was Juryu Fortress.
    Baekje divided the provinces into five Bangs and dispatched to each Bang an official titled Dalsol which corresponded to the rank of ministerial office. This seems to be relevant to the fact that the Baekje migrant who constructed the defense system of Dazaifu was a Dalsol. That is, it is highly likely that Dalsol, the provincial minister of Jungbang Fortress, applied his experiences of constructing the defense system during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to Dazaifu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