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1)』 교과서의 백제사 쟁점에 대한 서술 검토 (The review on the issues of Baekje’s history in middle school textbook 『History(1)』 by the 2009 revised curriculu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5.12
30P 미리보기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1)』 교과서의 백제사 쟁점에 대한 서술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46호 / 77 ~ 106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숙

    초록

    역사교과서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현행(2015년 발행) 중학교 『역사(1)』 교과서의 한국고대사 내용을 백제사 쟁점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먼저 백제 국가 형성과 관련된 백제국의 출자 문제는 크게 고구려 유ㆍ이민 설과 부여계 고구려 유ㆍ이민 설로 나뉘어졌다.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부여계 고구려 유ㆍ이민설’을 따르는 서술이 이후의 백제사 전개를 이해하는데 타당할 것이다. 그리고 한성시대 도성인 하남위례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과서가 위례성과 하남위례성을 구별하지 않고 서술하고 있었다. 또한 하남위례성(한성)의 경우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일대로써 풍납토성을 왕성으로 보고 있는데, 대부분의 교과서가 이 부분에 대해 불명확하게 서술하고 있어서 보완이 필요하다.
    한편, 거의 모든 교과서가 요서진출설을 조심스럽게 서술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도에서는 일본이나 산동지역은 ‘교류’로, 요서지역은 ‘진출’로 표시하고 있다. 여전히 ‘진출’과 ‘교류’를 구분하는 것은 그 근저에 백제의 요서진출설이 깔려 있는 것이다. 또한 근초고왕 시기에 이런 서술을 함으로써 요서진출설을 사실로 인식하는 듯 한 모습이 드러난다. 역사 지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요서진출’을 하나의 설(說)로써 설명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고대 한일교류사 서술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논문들이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언급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일본에게 일방적으로 베푼 ‘시혜적’ 교류였다는 인식에서 적극적으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삼국과 가야의 대왜교류를 역사적 맥락 속에서 서술함으로써 상호 교류의 관점을 드러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 교과서에 보이던 서술상의 오류나 문제점들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도 다양한 종류의 검인정 교과서가 주는 장단점을 파악하고, 교과서 서술 내용의 선정에 학계의 연구 성과를 신중히 검토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역사 교과서에 보이는 한국고대사 서술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안 제시와 방향을 모색하여 더욱 발전된 역사 교과서를 만들려는 노력이 지속되었으면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views the current middle school textbook History(1) which the first edition was released in 2014 by the 2009 revised curriculum mainly focusing on Baekje’s historical issue.
    First of all, the debate on the origin of Baekje had two points of view; one is immigrants from Goguryeo theory and the other is those from Buyeo-Goguryeo theory. The proper description for understanding further development of Baekje’s history would be ‘immigrants from Buyeo-Goguryeo theory’ which is being discussed in the academic world.
    Concerning the issue on Hanam-Wiryeseong which was the capital city in Hanseong period, most of textbooks are not making a clear distinction between Wiryeseong and Hanam-Wiryeseong. Also on the matter of Hanam-Wiryeseong, the academia regards Pungnaptoseong as the royal castle covering Pungnaptoseong and Mongchontoseong area. With the view of the academia, majority of textbooks need to supplement their unidentified description.
    Furthermore, covering Bu-system in the time of establishing a centralized state period directly on a middle school level textbook is inappropriate considering the students' level. The suitable way for learner’s understanding is to compare the terms between confederation and centralism.
    And almost every textbooks are dealing carefully with the view of Baekje’s advance on Liaoxi. The problem is the map, describing Japan / Shandong as ‘exchanged’ area and Liaoxi as ‘advanced’ area, which still demonstrates a difference in concept between 'exchanged' and 'advanced' in Baekje's advance on Liaoxi View. Considering the text during King Geunchogo Period, the advancement on Liaoxi was highly accepted as a fact at the time. As the criteria of division between ‘advance’ and ‘exchange’ is based on the view of Baekje’s advance on Liaoxi, the text should be clarify its uncertainty as it is a view.
    At last, even though many academic articles have pointed out the problem of the description of the ancient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the textbooks are still stuck in the one-way ‘dispensational’ cultural exchange. Understanding the exchange between the Three States or Gaya and Japan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 narration should escape from its unilateral perspective and look at it in different angle with a mutual exchange point of view.
    Through this study, the previous textbook’s improvements and corrections were confirmed. Understanding merits and demerits of diversity of authorized textbooks, the textbook editors should select the contents precisely considering academic research results. Futhermore efforts are required for detecting the textbook’s faulty description of ancient Korean history. Through this will propose alternatives and directions in making more advanced history text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