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寰瀛誌(환영지)를 통해 본 存齋 魏伯珪의 역사지리인식 (A Study on the Historical-Geographical View of Jonjae Wi Baek-Gyu by Analysis of Hwanyungji (寰瀛誌))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6.11
44P 미리보기
寰瀛誌(환영지)를 통해 본 存齋 魏伯珪의 역사지리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61호 / 41 ~ 84페이지
    · 저자명 : 김봉곤

    초록

    본고는 존재 위백규(1727(영조 3)∼1798(정조 22))가 1770년(영조 46) 만든 『환영지』 필사본과 1787년(정조 11) 위백규에 의해 수정된 것을 1882년(고종 19) 족손 魏榮馥(1832(순조 32)∼1884(고종 21))이 간행한 『환영지』 목판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백규의 역사지리적 인식이 어떠하였는가를 조명해 본 것이다.
    위백규는 목판본 범례를 통해 행정단위별 기호와 유교적인 합리적 관념에 따라 지도를 작성하였고, 서양에서 전래된 지리 지식도 최대한 수용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필사본에서의 「利瑪竇九九州圖」나 목판본에서의 「서구제국도」는 위백규의 서양 항해술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함께 마테오 리치와 알레니가 소개한 세계 지리에 대한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위백규는 여전히 명나라를 황명(皇明)으로 높이고 명나라의 13성도(十三省圖)를 가장 먼저 배치하였으며, 명의 유학자와 충신, 열사를 높이는 등 중화주의적 세계관에 머물고 있었다.
    위백규의 역사지리인식은 사료에 충실한 역사해석에 바탕을 두었다. 그는 단군, 기자, 위만조선을 모두 인정하고, 북부여와 동부여를 우리 역사에 설정하였다. 고조선의 수도가 평양에 있었다는 것이나 진번을 제외하고 나머지 낙랑, 현도, 임둔은 한반도에 있었다는 것은 丁若鏞의 학설과 유사하다. 그러나 기자와 위만 조선이 마한으로 계승되어간다거나 낙랑의 위치가 요동일 가능성을 제기한 것, 변한이 전라도에 있었다는 것, 李瀷의 주장처럼 삼한 정통론을 내세웠으나 삼국을 고려가 통일하였다는 역사관은 다른 실학자과는 다른 위백규의 견해로 주목할 만하다.
    위백규는 지도 제작에 있어서 유교적 인문지식에 관한 관심과 함께 변경지역이나 海防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1712년 「백두산정계비」의 내용을 국경선으로 하였으나, 두만강 하구의 적도, 울릉도, 독도 등을 실제보다 훨씬 크게 그려서 우리 땅임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호남과 영남의 수군 주둔지역인 수영과 첨절제사, 만호의 위치를 상세히 표기하였으며, 모문룡의 명군이 주둔하였던 椵島 등을 명시하여 청에 대한 복수심 등을 반영하였다.
    그는 대외적으로 북방에 요동, 북막, 영고탑도, 남방에 일본과 유구지도를 그렸다. 북방에는 요나 금, 원의 발상지, 그 곳으로 가는 길, 중국이나 우리나라 사이에 싸웠던 전적지나 방어시설 등을 기록하였다. 남방의 일본과 유구에 대해서는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남북의 위치를 바꾸어 그렸는데, 일본은 주로 국방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어 있고 정치는 天皇이 아닌 關伯이 대신하며, 토지는 척박하다고 부정적이었다. 유구는 국왕이 검소하고, 정전법을 시행하여 신민들이 모두 토지를 갖고 있으며, 조세는 가혹하지 않다고 긍정적이었다. 교린관계를 중시하는 위백규의 유교적 인식이 크게 작용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geographical view of Jonjae Wi Baek-Gyu and how it was changed via the analysis of the manuscript of ‘Hwanyungji’ by Jonjae Wi Baek-Gy (1727 King Yeongjo)∼1709 (King Jeongjo) and the woodblock print of ‘Hwanyungji’, corrected by Wi Baek-Gyu in 1787 (King Jeongjo) and issued in 1882.
    Wi Baek-Gyu became interested in China, Korea and other nations after experiencing the Cheonhado and as result, he created a map as well as graphs for various institutions. He was trying to capture and identify the shape of the world along with the systems and civilizations of all ages in Hwanyungji. He clearly indicated his intention in the wood print of ‘Hwanyungji’. He also stated that the map is not a survey map and he deleted information if he found it as nonconforming to the principles of Confucianism, and he segmented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using symbols. In a legend, he also mentioned that he employed the knowledge from the West. From this aspect, in the manuscript, he used the term Matteo Ricci Gugujudo, but he changed it to Gugujudo in the block book. He appreciated the navigation skills of the West and drew the empire map of the West, described in Jikbangwigi by Alenni and others, and introduced foreign nations.
    Wi Baek-Gyu arranged thirteen castles of Ming dynasty from the aspect of Sinicism, following Cheonhado. He also stated the astronomical locations, regional names and loyalists, patriotic martyrs, and Confucian scholars, descriptive geographical information. Then, he introduced the West, followed by Yodong, Bukmak, Younggotop, Chosun, Japan, and Ryuku. This regional arrangement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Sadegyorin’, a diplomatic principle of respecting great nations and building friendship with adjacent nations.
    His historical view was somewhat inheriting of Lee Ik, Jeong Yak-Yong etc.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His understanding was that Korea was started from Dangun Chosun and succeeded to Gija Chosun and then, Wiman Chosun. However, he also took a hypothesis of Jeong Yak-Yong that the capitals of all those nations were all located in Pyeongyang. Mahan legitimism that Ko Chosun was inherited to Mahan was also ideas of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cluding Lee Ik. Still, he claimed the Goryeo unification theory rather than the Silla unification theory differentiates him from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His high interests in the frontier areas and defense system of the north and south areas are reflected on his map as well. Although he drew the borders of Korea based on ‘Baekdusan Jungbi, published in 1712, he enlarged Jukdo, Ulleungdo, Dokdo and others to clarify that they are parts of Korea. In addition, he indicated the locations of Sooyeon, Chum Churl Jae Sa and Manho, where the naval forces of Honam and Yeongnam in details as well as 4 major islands including Geojaedo, Namhaedo, Jejudo and Jindo. Moreover, he indicated Gado(椵島) of Moh Moon-Ryong, reflecting a sentiment of revenge or cultural contempt towards the Qing Dynasty. He named the Qing Dynasty as Hwangmyeong. It could be also considered as the manifestation of his disdain towards the Qing Dynasty.
    Wi Baek-Gyu was also highly interested in Yodong, which often had conflicts with northern races. He expressed the historically significant battlefields and the Great Wall of China in the path from Wihwado to Beijing. Also, he indicated the locations of wooden fences and defense towers, indicating a deep interest in the defense of Manchurian. He also showed some interest in the Seonchoonryeong established by Yoon Gwan, but he accepted the borderline with the Amnokgang and the Dumangang as borders.
    He highly valued of Japan and Ryuku as neighboring nations. Their locations were re-arranged with Korea at its center. As for Japan, the national defense was the main intention. On the other hand, as for Ryuku, the nation was employing the land system which allowed each citizen to own land, and there was no harsh taxation. It revealed that Wi Baek-Gyu had the Confucian view of Sadegyorin reflected on both mapping and foreign re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실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