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웅진도독부의 백제부흥운동 재론- 664년 사비산성 전투를 중심으로 - (Review of Ungjin Commandery’s Baekje Reconstruction Movement - The Battle of Sabi castle, occurred at 664, as the center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8.08
24P 미리보기
웅진도독부의 백제부흥운동 재론- 664년 사비산성 전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25호 / 89 ~ 112페이지
    · 저자명 : 김수태

    초록

    이 연구에서는 664년 3월에 일어난 사비산성 전투를 중심으로 웅진도독부의 백제부흥운동을 새롭게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서 필자가 구분한 백제부흥운동의 시기구분을 따른다면, 사비산성전투는 전기 부흥운동의 마지막 전투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
    오히려 그것은 후기 부흥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전투였음을 알려준다. 전기 부흥운동의 진압에 협조한 백제유민들의 움직임이라는 점에서 그 주체나 성격이 크게 달랐던 것이다. 백제 멸망 이후 당나라로 끌려간 부여융을 비롯한 백제유민들의 협력과 참여가 거기에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663년 11월의 임존성 전투가 전기 백제부흥운동에서 후기 백제부흥운동으로 넘어가는 분기점임을 말해준다.
    그러나 임존성 함락이후 웅령 회맹이 맺어지면서 부여융을 비롯한 백제유민들의 바람은 당나라가 제의하였고, 자기들이 의도했던 것과는 달리 전개되었다. 웅령 회맹이 이루어졌고, 부여융이 다시 당나라로 소환되어 갔기 때문이다. 이에 이들은 사비산성 전투를 일으켜서 자신들의 당나라에 대한 불만을 표시하였다. 그러나 당나라는 신라 및 왜와의 연결 속에서 고구려 침공을 재개하였다. 이와 같이 당나라는 국제관계를 새롭게 변화시켜보려고 했지만, 여의치 않았던 것 같다.
    그 결과 부여융이 마침내 웅진도독이 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서 백제유민들은 그와 함께 웅진도독부를 통해서 백제의 부흥을 다시 시도해보려고 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이 664년 2월 웅령 회맹 이후 10월에 이르러 부여융의 웅진도독 임명을 요청하는 상소문이 올라가는 무렵까지 매우 긴박하게 움직여져 간 동아시아의 한 모습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reviews Ungjin Commandery’s Baekje reconstruction movement focusing on the battle of Sabi castle which occurred in march, 664. Following author’s period classification about Baekje reconstruction movement, the battle of Sabi castle can not be considered as the last battle of the former part of the Baekje revival. Instead, the battle was the start of the latter part of Baekje reconstruction movement. It drastically differ in its character in that the main agents were those who cooperated in suppression of the former movement. Participation of Baekje’s displaced people including Buyeo Yung, who was taken to Dang Dynasty after the fall of Baekje, was the main feature. Therefore, battle of Imjonseong fortress is the turning point from the former to latter Baekje reconstruction movement.
    However, Yungryeong treaty was signed after the fall of Imjonseong fortress and situation went different from the Baekje’s displaced people’s intention. This was because Buyeo Yung was re-summoned to Dang dynasty after the Yungryeong treaty. Hence Baekje people caused the battle of Sabi castle to express their dissatisfaction to Dang dynasty. Dang dynasty, however, resumed the invasion of Goguryeo through the alliance with Silla and Japan. Like this, Dang dynasty tried to transformed the internation relations surrounding East Asia, but without much success. As a result, Buyeo Yung became commander of Ungjin, and the Baekje’s displaced people tried to revive Baekje through Ungjin Commandery. This can be said to be urgently shifting phase of East Asian history, which took place from Yungryeong treaty, Feburary 664, to October of that year when appeals requesting the appointment of Buyeo Yung as Ungjin commander were documen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