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漢陽都城에서 출토된 조선 전기 墨書白瓷의 특징과 의미 (Joseon White Porcelains with Ink Inscription Discovered in Ancient Capital Area: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4.06
28P 미리보기
漢陽都城에서 출토된 조선 전기 墨書白瓷의 특징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82권 / 282호 / 61 ~ 88페이지
    · 저자명 : 박정민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묵서백자를 통해 조선 전기 漢陽都城에서 이루어졌던 백자 관리방식의 일면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백자들 중에서도 주로 官物로서 관리되던 그릇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실무자를 명기하는 묵서 방식이 사용되었다. 주로 京中各司들에서 관물로 사용된 백자에 그릇의 출납과 관리주체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묵서가 사용된 것이다. 조선 전기 관청과 일반의 백자 관리방식을 파악하고자 서울사대문 안에서 이루어진 조선시대 유적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다양한 묵서백자들을 활용하였다.
    묵서백자에 담긴 내용들은 개인이 본인의 소유관계를 타인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장치라기보다는 묵서된 백자의 출납을 관리했던 사람이 그릇의 효율적인 출납과 재고의 파악을 위해 표시했던 것으로 사료된다. 출토된 묵서백자를 사용된 문자별, 내용별로 구분하여 특징들을 살펴보면, 백자의 귀속과 출납상황이 변화될 소지가 발생했을 때에 주로 묵서가 부가되고 그 주체는 상황에 따라 백자를 직접 관리하는실무자들을 포함하여 그릇의 출납 과정을 통제했던 官吏일 것이다.
    조선 전기 궁궐과 관청에서 음식을 만들고 식사를 거드는 일은 주로 奴婢들이 담당했으며 음식을담았던 그릇이 사라졌을 경우에 관리책임자는 그 노비들에게 책임을 물었다. 그들의 신분과 교육수준이낮았기 때문에 漢字보다는 한글이나 부호로 원하는 내용을 표시하는 것이 그릇을 관리하는 실무자와 책임자 모두에게 효율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배경이 다수의 한글묵서가 등장하는 원인으로 판단되며 묵서에 담겨있는 이름을 살펴보면 그릇의 관리는 주로 여성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것도 유추해 볼 수있다. 또한 한글로 묵서된 내용을 살펴, 그 등장시기와 활용주체에 대한 접근도 이루어 보았다. 현재까지출토된 한글 묵서백자 중에서 ‘ㅿ’과 ‘ㅸ’이 초성으로 사용된 유물이 아직 한 점도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은한글이 사용되는 시점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준다. 전거한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백자에 나타나는 한글묵서는 ‘ㅿ’과 ‘ㅸ’이 사라지고 난 15세기 말부터 16세기 이후에 주로 시문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practice of leaving a mark on the surface of white porcelainwares as a means of effectively managing them, which was widely performed in Hanyang,the capital of Joseon,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For the government agencies whichused the valuable ceramic vessels, their efficient management was an important part of theirresponsibility, and marking them with the name of the person in charge was a very commonpractice. The method of marking porcelain ware with ink and brush was widely adopted bygovernment agencies across the capital to identify the whereabouts of the vessels and thepersons responsible for them.
    This study, which includes a survey of a collection of marked white porcelaindiscovered at various Joseon period sites in downtown Seoul, was conducted to gain a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way the valuable ceramic works were managed in bothgovernment agencies and ordinary household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The surveysuggests that the marks made on the vessels by ink and brush were intended to ensure theefficient management of the vessels rather than to indicate to whom or to which organizationthey belonged. An analysis of the writing system used to make the marks and the contentsrevealed that the marks were made whenever there was any change with respect to theobjects’ whereabouts or ownership. It is, therefore, highly likely that the marks were made by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directly in charge of managing suppli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preparation and serving of food in royal palaces and government offices was carried out by men and women of lower social status and, hence, lesseducated. That explains why most of the marks were made not with Chinese characters butwith the Korean alphabet (Hangeul) or with simple symbols whose meanings were knownonly to those related with the services, because the latter, much simpler, symbols providedthe workers and their managers with a more effective means of managing the valuable items.
    The names written in Hangeul on the porcelain vessels suggest that the management of thekitchen ware was largely in the hands of women.
    Finally, the study of the Korean letters marked on the porcelain ware also providesinformation on when and by whom they were made. In fact, none of the Korean inscriptionsdiscovered on the ceramic works uses either ‘ㅿ’ or ‘ㅸ’ to represent the initial sound of asyllable, thus providing an important clue to the time when the inscriptions were written.
    Considering that the two letters (‘ㅿ’ and ‘ㅸ’) disappeared before the late 15th century, theinscriptions on the porcelain works must have been written after the early 16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