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옥섬(白玉蟾)의 도심불이론(道心不二論) (A study on the thought of Báiyùchán’s Táoshinbùè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2.12
22P 미리보기
백옥섬(白玉蟾)의 도심불이론(道心不二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37권 / 285 ~ 306페이지
    · 저자명 : 김낙필

    초록

    송대의 도교사상가 백옥섬(白玉蟾, 본명은 葛長庚, 1134?-1229?)은 장백단의 내단사상을 계승, 발전시킨다는 사명감을 지니고 도맥 전수과정을 정리하고 내단사상을 심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백옥섬은 기존의 내단사상에 심성수행의 측면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심하였다. 그 일환으로 그는 도와 마음이 둘이 아니라는 ‘도심불이(道心不二)’의 관점을 제시하여 마음의 위치를 고양시켰다.
    그는 나아가 삼교융합의 시각에 바탕하여 마음수행의 측면을 중심하여 삼교의 회통을 도모하였다. 나아가 그는 육체적 장생을 부정하고 본성의 불사를 주장하였다. 이 경우 원신은 선천일기(先天一氣)와 둘이 아니므로 그가 선천의 원기가 지닌 중요성을 소홀히 한 것은 아니다.
    유‧불의 수행관과 다른 내단사상의 특징적인 면은 선천기의 회복에서 찾을 수 있다. 백옥섬도 순수한 선천기(命)와 밝은 본성(性) 간에는 상호 영향관계가 있다고 보고 성명쌍수(性命雙修)를 주장한다. 백옥섬 이전의 내단사상은 선불교에서 심성수행의 요소를 찾고 보완하려고 노력하였다. 백옥섬은 한 걸음 나아가 성리학의 심성수행의 요소도 적극 수용하였다. 이는 중파를 비롯한 후기 내단파에서 하나의 전통으로 정착되었다.

    영어초록

    Báiyùchán(1134?-1229?), a taoist philosopher of chinese Sòng dynasty, succeeded to Zang-Bóduan’s thought of Naetan(Internal alchemy) and developed it. He established the identity of southern school of naetan practice originated from Zang-Bóduan, and tried to deepen the philosophical basis of naetan practice.
    Báiyùchán thought that traditional naethan thoughts lack in cultivation of practice of mind and endeavored to compliment this aspect. He suggested that the essential substance of Tao and human mind is not different. In this theory he enhanced the status of human mind to that of tao.
    Based on trying to integrate Tao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harmoniously he suggested that three main thoughts commonly stressed on mind practice for attaining tao. Furthermore he maintained that we can attain only eternity of original nature, not eternity of physical body. But he maintained original nature cannot be separated from primordial chi. He did not ignored importance of primordial vitality.
    Main characteristic of the theory of Naetan different from buddhism and confucianism consists in trying to recover primordial chi(vitality).
    Báiyùchán als insisted there are reciprocal reaction between primordial chi and original nature. Based on this view he suggested primordial chi and original nature should be cultivated in mutual harmony.
    From late Tang dynasty various naetan philosophers highly estimated buddhist mind practice aiming at enlightening and tried to compliment this aspect.
    Furthermore Báiyùchán positively accepted neo-confucian thoughts and mind practice. This new tendency was succeeded to late naetan school, especially middle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