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백나한도>의 現狀과 작품의 특징에 대한 연구: 일본 지온인❲知恩院❳ 소장 고려 <오백나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henomenon of 500 Arhat Painting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 Focused on Goryeo Dynasty 500 Arhat Painting in Chionin Temple, Japa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0.09
40P 미리보기
&lt;오백나한도&gt;의 現狀과 작품의 특징에 대한 연구: 일본 지온인❲知恩院❳ 소장 고려 &lt;오백나한도&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5호 / 281 ~ 320페이지
    · 저자명 : 김범수

    초록

    본 연구는 일본 지온인(知恩院)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불화 <오백나한도>의현상과 작품의 특징을 파악하여 원화에 가깝도록 충실하게 재현해 내는데 목적이 있다. 14세기까지 동아시아 <오백나한도>는 네 가지의 제작 형식을 갖고전개되었다. (1)일본 다이토쿠지(大德寺)에 소장된 <오백나한도>와 같은 100폭세트이거나 (2)엔가쿠지(圓覺寺)에 소장된 50폭 세트, (3)한 폭에 한 분씩 그린500폭의 독존 형식, (4)그리고 지온인(知恩院)의 소장본처럼 한 폭에 오백나한이 모두 그려진 형식 등이다.
    한 폭에 오백나한이 그려진 것으로는 11세기 중엽에 법능(法能)의 작품이 있었으나 현재 남아있지 않고, 그 작품을 상세하게 기술한 북송대 진관(秦觀)의글만이 전하고 있다. 지온인본은 현재 남아있는 전 세계의 <오백나한도> 중에한 화면에 오백 분이 모두 묘사된 유일본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지온인본과 같이 한 폭으로 이루어진 오백나한의 도상은 숫자만이 정해진것일 뿐, 그 어떤 제작 기준이 있었는지 현재까지 알려진바 없다. 따라서 지온인본은 작품 평가에 앞서 화면에 펼쳐진 수많은 주제의 분류, 위계질서에 따른구성방식의 이해, 장면간의 선후관계 등 조형적인 고찰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지온인본의 조형분석은 한 폭에 그려진 <오백나한도>의 내용은 물론, 제작 의도나 감상 기준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가 되는 것으로 매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By the 14th century, the ‘Picture of 500 Arhats’ (Obaek-nahan-do, 五百羅漢圖) in the East Asia was unfolded in four different formats as follows: (1) a set of 100 paintings, such as the ‘Picture of 500 Arhats’ in the Daitoku-ji Temple (大德寺) in Japan, (2) a set of 50 paintings in the Engaku-ji Temple (圓覺寺), (3) a set of 500 paintings in each of which each Venerable One was drawn alone, and (4) a set where all 500 Arhats are drawn on one painting like the version of the Chionin Temple (知恩院).
    As a picture where 500 Arhats were drawn in one painting, there was the work by Fa Neng (法能) in the middle of 11th century, not left presently, but only the writing of Qin Guan (秦觀)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which described the work in detail, was handed down.
    It can be told that the version of the Chionin Temple is the only one in which 500 Arhats are all depicted on one screen among all the ‘Picture of 500 Arhats’ over the world which were left today. Only the number of picture of 500 Arhats drawn in one painting, as the version of the Chionin Temple, is set, whereas it has not been known as of now what the production standards were. Thus, prior to evaluating the version of the Chionin Temple, it is very important to investigate it’s form such as the classification of numerous subjects on the screen,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hierarchy, and the context between scenes. Therefore, the analysis of form of the Chionin Temple version is very meaningful as it provides the basis for preparing the production intention and standards for appreciation as well as the contents of the ‘Picture of 500 Arhats’ on a single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