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이 비평의 양상과 그 의미 (The Aspects of Bakui Criticism and Its Mean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1.12
31P 미리보기
백이 비평의 양상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어문화 / 76호 / 5 ~ 35페이지
    · 저자명 : 박수밀

    초록

    본고는 백이 이미지의 형성 배경과 백이를 둘러싼 다양한 비평 양상을 살펴 백이 이해에 도움을 주고 백이 형상이 갖는 의미와 의리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 본 것이다. 백이 기사는 ≪논어≫, ≪맹자≫, ≪소학≫ 등의 유가 경전을 비롯해 도가, 법가, 역사서 등 다양한 문헌에서 다루어 왔다. 그리하여 백이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시선 및 백이 형상의 변모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의 백이 기사는 조선 사회에 수용되었으며, 조선 사신들의 이제묘(夷齊廟) 방문은 백이의 충절 의리가 국가적 이데올로기로 굳어지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백이 비평은 두 가지 지점에서 논쟁을 일으켰다. 하나는 서로 다른 정치 지향을 보인 백이와 무왕/태공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의 문제였다. 또 하나는 <백이열전>에 나타난 간벌(諫伐)의 진위 여부였다. 조선의 문인들은 서로 다른 정치적 입장을 보인 백이와 무왕/태공을 권도(權道)와 경도(經道)로 이해했다. 백이는 불사이군(不事二君)이라는 유학의 전통적인 도리를 지켰기에 경도가 되고 무왕은 고통에 빠진 백성을 구하고자 폭군인 주왕을 쳤기에 권도가 되었다. 하지만 유학자들은 군신의 의를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겼으므로 경도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비해 박제가와 박지원은 양시론(兩是論)과 동도론(同道論)을 주장하여 권도와 경도의 가치를 동등하게 보거나 양자를 구별하려는 생각을 부정했다. 백이 비평의 과정을 살펴보면 백이의 진짜 실체는 무엇이며 이미지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작가의 이데올로기와 당시의 정치 상황에 따라 백이 이미지는 끊임없이 굴절되고 사람들 입맛에 맞게 해석되었다. 백이 비평 논쟁은 누구 입장이 더 옳으냐를 가리는 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시선을 통해 세계를 인식하는 인간의 태도를 들려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Bakui by researching various its criticism and to find any background of his image making process, then to consider the meaning of his image and the nature of loyalty. The articles about Bakui could be found in many Confucian scholars’ classics like ‘Noneo’ ‘Maengja’ ‘Sohak’ and in Taoism, School of Law and The History Book. Upon this analysis, it shows positive and negative views about Bakui and the changing process of his image. The Chinese articles about Bakui had been accepted to the Chosun society. The Chosun diplomatic delegates to Leejemio – the shrine for Bakui and Sukje – had great influence to accept the loyalty of Bakui as Chosun national ideology. The criticism of Bakui makes argue in two aspects. The first is how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akui and the king Mu/Taegong in terms of different political points of view. The another is the authenticity of stopping the conquest in ‘Bakui Biography’. The Chosun scholars had considered those different political points of view between Bakui and the king Mu/Taegong as a conditional truth and an absolute truth. Bakui keeps absolute truth of keeping the same king, the spirit of Bulsaigun (no two kings to be served), according to Confucian tradition, but king Mu, of conditional truth by killing the tyrant king Ju, to save people in pains and suffering. Yet the scholars considered the absolute truth more than the other, for the loyalty to kings was the most important value. Meanwhiles, Park Jega and Park jiwon insisted on the theory of Yangsi –boths are right– and Dongdo – boths are the same truth, thought that the conditional and absolute truth are the same, of no need of seperating them. On considering the process of Bakui criticism, it is getting a question about the true identity of Bakui and his image. The image of Bakui has been interpreted continually and flexibly as of the ideology of writers and of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ose times. The talks about Bakui criticism do not rely on selecting the right opinion of all, yet do have meaning to present human attitude to perceive the world through its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어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