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始鑌의 <李白古風次韻>에 나타난 李白 <古風> 수용과 변주 – 작법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 (Acceptance and Variation of Li Bai's in by Kim Si-bin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writing method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0.03
32P 미리보기
金始鑌의 &lt;李白古風次韻&gt;에 나타난 李白 &lt;古風&gt; 수용과 변주 – 작법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78호 / 311 ~ 342페이지
    · 저자명 : 이훈

    초록

    본고는 金始鑌의 <李白古風次韻>이 운자, 어법, 수사법 등의 작법상 측면에서 李白의 <古風>을 수용하고 변주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韻字의 운용에 있어 이백의 <고풍>은 총 12수에 걸쳐 수구입운이 구사된 점, 환운할 때 첫째 구에 입운한 것과 입운하지 않은 것이 병존하거나 혼재되어 있고 환운의 거리에 일정한 규칙이 없으면서도 平韻과 仄韻을 번갈아 썼다는 점에서 漢魏六朝의 古詩에서 변모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김시빈의 <李白古風次韻>에서 <고풍>의 수구입운과 환운 시 첫째 구 입운은 수용의 대상이 아니었다. 이러한 양상의 기저에는 <고풍>의 운자에 구속을 덜 받으면서 자신만의 詩意로 변주하기 위한 의도가 놓여 있으며, 아울러 격구 압운을 오언고시 고유의 원칙으로 인식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고시의 어법상 특징 중의 하나가 重字의 連環句를 구사하는 것이다. 연환구는 上句(또는 上聯)의 마지막 한 글자 또는 두세 글자가 下句(또는 下聯) 맨 앞의 한 글자 또는 두세 글자와 중복되어 일종의 연쇄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반복되어 끝이 없는 情意를 표현하는 데 적합하여 고시에서 즐겨 사용되던 작법이다. 이백은 연환구를 통해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나 유한한 인생의 덧없음과 같은 情意를 표현하였고, 김시빈은 당쟁으로 점철된 亂世가 변혁되리라는 기대감이나 尊華攘夷의 의식을 피력하는데 연환구를 활용하였다.
    이백이 <고풍>에서 구사한 ‘比興’의 수사법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자 김시빈의 <李白古風次韻>에서도 활용된 것은 ‘뜬구름에 가린 태양’의 비유적 표현이다. 이것은 <古詩十九首>의 “浮雲蔽白日”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백의 <고풍>이 지닌 특징적인 수사법이다. 이백과 김시빈은 “浮雲蔽白日”의 비유적 표현을 변용하여, 소인배과 간신들의 농간에 의해 왕권이 침해당하는 혼란한 정국을 풍자하거나 그로 인해 초래된 자신들의 ‘懷才不遇’한 처지를 한탄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of how Kim Si-bin(金始鑌) accepted and variated Li Bai(李白)'s <Gufeng(古風)> in his <Libaigufengchaun(李白古風次韻)>, in terms of writing method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ase of using the rhyming words, Li Bai's <Gufeng> seems to be transformed from ancient poems of the Han, Wei and Six Dynasties(漢魏六朝): in the sense that Li Bai had a command of Suguipun(首句入韻) on 12 pieces of <Gufeng>, used rhymes in the manner of coexistent that either applying identical rhyme to the first line or not, and alternated between Pyeongun(平韻) and Cheukun(仄韻) without certain rules of rhyming interval. In <Libaigufengchaun> by Kim Si-bin, however, these ways such as Suguipun and applying identical rhyme to the first line were not acceptable. At the base of this pattern was the intention to be less restricted by the rhymes of <Gufeng>, and it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rhyming scheme at the ends of even lines(隔句押韻) as a unique principle of ancient five characters poems.
    One of the features of poetic diction of ancient poems is the usage of circle phrase(連環句), which is suitable for sincerely expressing some emotions of poetic narrator by forming a kind of chain structure with using reduplication(重字), so that it could be a favorite method in the ancient poetry. Li Bai and Kim Si-bin both used the circle phrase; the one expressed his feelings of longing for his hometown and the fleetingness of finite life, the other delivered the own expectation for a change in the turbulent times of partisan strife and the doctrine of Zonhwayangi(尊華攘夷: to respect China and ostracize barbarians).
    The rhetorical method commonly used by Li Bai and Kim Si-bin is a metaphor(比興), and a case in point is ‘the sun covered by floating clouds’. This expression originates from the phrase “Buyunpyebaekil(浮雲蔽白日)” in <Gosisipgusu(古詩十九首: the nineteen ancient poems)>, and which is a characteristic rhetoric used in Li Bai's <Gufeng>. They used this metaphor in a variety of ways: to satirize a chaotic situation in which the royal authority was violated by stratagems of petty cliques and the treacherous, as well as to lament the miserable situation that having no favorable opportunity for the talented(懷才不遇).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