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배에 있어서 사도신앙고백이 한국교회 신학과 신앙고백에 끼친 영향 (The Influence to Theology and Confession of Korean Church from Apostoles' Creed in Worship)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09.09
38P 미리보기
예배에 있어서 사도신앙고백이 한국교회 신학과 신앙고백에 끼친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20호 / 5 ~ 42페이지
    · 저자명 : 위형윤

    초록

    사도신앙고백이 단번에 형성된 것이 아니고 예배 속에서 교부들이 고백한 신앙고백들을 주후 750년 피르미니우스가 만든 것을 서방교회가 최종 채택한 것이다. 그러한 영향으로 역사발전과 함께 기독교신학이 형성되었으며 그 신학은 오늘 한국교회에 영향을 끼친 루터와 칼빈, 그리고 칼 바르트신학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그러한 영향으로 한국교회는 믿음과 생활규범으로서 신앙고백서를 만들어 교단을 형성하였으며, 오늘날 한국교회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그것으로부터 파생된 신학적 문제로 많은 교단들이 생겨나고 똑 같은 주님을 믿으면서 혼돈을 야기하고 사회적 갈등까지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예배에서 사도신앙고백을 외우고 고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2천년전의 사도들의 신앙고백이 오늘 우리들과 무슨 상관이 있는 것인가? 사도신앙고백이 한국교회 신학과 신앙고백에 끼친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 해결책은 무엇인가?
    먼저 우리의 자주적인 신앙고백이 새롭게 자리 잡아 고백되어져야 교회갱신의 역사가 전개되리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대표적인 교단들이 외국의 신앙고백들을 줄이고 덧붙이고 달리 강조할 뿐 우리 민족신앙의 고백이 없다는 것이다.
    둘째로 신앙고백을 통한 새로운 신학정립을 수립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장로교회의 두교단 예장과 기장은 둘다 칼빈주의를 내세우면서도 분열하고 있다. 그 분열의 문제는 신학적 해석의 차이이지 신앙고백의 차이는 아니다. 왜냐하면 둘 다 예배 속에서 사도신경을 고백하고 실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 때문에 도전해 오는 역사적 질문들에 대한 신학적 답변을 내놓고 그리스도의 구원에 맞추어 나가기 위해서 새롭게 신학적 해석을 해야 하고 통일 민족신학의 정립을 수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교회 신앙고백은 대개가 이상적이고, 비실천적이다. 그래서 신앙고백은 신앙과 행위가 하나의 규범인 동시에 생활론이다. 그래서 신학적 해석의 제약을 받을 수 없는 것이다. 즉 행위는 신학의 대상은 될 수 있어도 신학의 평가나 제약을 받을 수는 없는 것이다. 그래서 신앙고백의 생활론을 강조해야하고, 신자의 교회생활과 성결한 도덕적 삶을 성화로 승화시키는 의인화를 이룩하는 것은 정통 장로교회의 근본적 교리에 어긋남이 없는 것이다.

    영어초록

    Confession was not the one that was formed at a stretch but the one that the West End church adopted. The West End church mirrored the confessions already made in the worship, which Pirminius formed it in the weeks after 750 years. Such effects had the Christian theology formed along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formed theology has contributed in South Korea to the theology influenced by Luther, Calvin, and Karl Barth until now. Thanks to such influence, denominations were formed on the basis of confession of faith and norm of life in the Korean churches. And this h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Korean churches. However the theoretical issues, for example, continuous emergence in chaos of the churches believing the same Lord derived from it and have caused even the social conflicts. Viewing these, why do we recite and confess the faith of the apostles?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Apostle's Confession of Faith of 2000 years ago and that of today? What are the issues of the Apostle's Confession of Faith affecting the Korean church theology and Confession of Faith and what is solution?
    First, I think that undated history of the church will deploy on the condition that new independent confessions of ours get a new position. It is because the representative denominations in Korea just append, reduce, or emphasize the other leading countries' confessions without doing in our national belief.
    Secondly, I think a new theoretical formul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confession of faith. The two denominations in Presbyterian church seem to be divided even though they follow the Calvin's principle. The problem of division is not the difference in Confession of Faith but in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It is because both of them in Presbyterian church confess the Apostles' Creed in worship and keep that in life. Therefore, a new theoretical interpretation and formul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make theological answers to the challenging and historical questions and match the answers to the salvation of Christ.
    Finally, Confession of Faith in Korean churches is on the whole rather idealistic and non-realistic. Confession of faith is the theory of life as well as the norm in belief and conduct. So theological interpretation would not be constrained. That action could be the target of the theology of a theological evaluation and will not be able to receive constraint. So, life theory of Confession of Faith must be emphasized, and the moral, holy and pure church life of believers need to be turned into for personalization. Then fundamental doctrine of the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is not on the discrepan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