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홍도의 불교회화 : 이백(李白)의 「승가가(僧伽歌)」 주제를 중심으로 (Kim Hongdo’s Buddhist Painting : Three Painting with the Inscription of Li Bai’s Songs for Sengjia.)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0.10
27P 미리보기
김홍도의 불교회화 : 이백(李白)의 「승가가(僧伽歌)」 주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30권 / 33 ~ 59페이지
    · 저자명 : 조인수

    초록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이후)는 18세기 조선의 궁중화원으로 초상, 인물, 산수, 화조, 풍속 등 여러 주제의 그림을 두루 잘 그렸다. 현재 전해지는 그의 작품 으로 미루어 볼 때 그는 조선시대에 가장 실력이 뛰어났던 천재적 화가로 평가되 기도 한다. 특히 풍속화의 경우 당시 일상생활의 다양한 장면을 생생하게 묘사함 으로써 이전의 화풍을 새롭게 바꾸었다. 또한 도교 신선을 그릴 때도 김홍도는 민간에서 유행하던 기복적인 염원을 반영하여 인물 묘사에 있어서 한국적인 특징이 두드러지도록 표현했다.
    더군다나 정조(正祖, 재위 1776-1800)는 사도세자의 융릉 옆에 용주사를 세우고 김홍도로 하여금 불화의 제작을 주관하도록 했다. 이후 김홍도는 불교 주제의 그림을 지속적으로 그렸기에 상당수의 작품이 남아 전한다. 그러나 이들 작품은 대개 작은 소품이고 그림에 제발이 있는 경우도 드물기 때문에 연구자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이 논문에서는 김홍도 만년의 활동에 집중하여 그의 불교회화의 의미를 살펴 본다. 이를 위해서 이백의 「승가가」란 시와 관련되는 김홍도의 작품 세 점을 상세히 다룬다. “구송항하사부사”라는 이백의 시구를 적은 그림 세 점은 시의도의 맥락보다는 승가라는 승려와 북한산의 승가사, 그리고 정조와 문효세자 등으로 연결되는 복합적인 배경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즉, 김홍도가 구체적으로 체험한 불교 신앙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시의도가 아니라 불교회화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Kim Hongdo(1745-after1806), the most celebrated of court painters in the eighteenth century Korea, excelled in painting on a wide range of subjects, such as portraits, figures, landscape, birds-and-flowers, genre scenes etc. Judging from his surviving works, he is often considered the most versatile painter in the Joseon dynasty.
    In genre painting, especially, Kim Hongdo was outstanding in capturing everyday activities realistically. With his lively depiction of common people’s daily life, Kim’s accomplishment is unsurpassed. He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localizing Daoist immortals’ pictorial image in Korea. Daoist immortals in his paintings became gods of fortune and longevity and merged with popular belief in Joseon society.
    Furthermore, King Jeongjo assigned Kim Hongdo to oversee the production of a large Buddhist wall painting in Yongju-sa, a temple in Hwaseong built to look after the tomb of Crown Prince Sado, the king’s father. After finishing this project in 1790, Kim continued to incorporate Buddhist subjects into his art in various ways.
    During the Joseon dynasty, Buddhism had never been officially recognized as a state religion but had its staunch critics among the literati. Therefore, Kim Hongdo’s choice to embrace Buddhism as his artistic theme is contradict with his Confucian persona.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Kim Hongdo’s artistic responses to Buddhism with special attention to three paintings with the same inscription. The inscription comes from the famous Tang dynasty poet Li Bai’s(701-762) poem, Songs for Sengjia and means “chanting repeatedly in numerous times as many as the sands of Ganges River.” These are not examples of poetry-based painting but obviously votive images in content and style and exhibit his sympathy with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