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정거래법상의3배 배상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ble Damage Compensation System under The Korean Fair Trade Ac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9.12
28P 미리보기
공정거래법상의3배 배상제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3권 / 4호 / 373 ~ 400페이지
    · 저자명 : 정병덕

    초록

    2019년 공정거래법에 3배 배상제도가 도입되었다. 2011년 하도급법에 처음으로 도입된 3배 배상제도는 사회적으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하나로 인식되면서 도입 여부를 둘러싸고 찬반논의가 매우 치열하였으며, 현재 하도급법과 대리점법 등 공정거래위원회 소관법률뿐만 아니라 환경보건법, 공익신고자보호법, 노동관계법 등 다양한 법률에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입 당시의 우려와 달리 하도급법상의 3배 배상제도는 그 활용 정도가 매우 낮은 것이 현실이다. 제도의 이용도가 저조함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부도덕한 행위로 인한 사회 경제적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여론은 강한 처벌과함께 제도 개선의 하나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을 요구하였고, 정부는관련 법령의 개정을 통해 3배 배상제도를 도입하는 것으로 대응하였다. 이러한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하도급업계나 유통업계의 거래관행이 근본적으로개선되었다고 보기 어려우며, 힘들게 마련한 제도들도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정거래위원회는 공정거래법에 부당한 공동행위 위반행위와 보복조치에 대하여 피해자가 입은 손해의 3배 범위 안에서 배상책임을인정하는 3배 배상제도를 도입하였다. 오래전부터 공정거래법에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을 위한 논의와 시도가 비로소 결실을 맺은 것이다. 그렇지만현행 공정거래법상의 3배 배상제도가 과연 미국법상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느냐의 문제가 있으며, 보다 근본적인 의문은 우리법상의 3배 배상제도를 과연 진정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로 볼 수 있느냐이다.
    공정거래법상의 3배 배상제도는 공적집행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우리의 집행체계에서 사적집행의 확대를 위한 진일보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의 상황에 비추어 공정거래법상의 3배 배상제도는 전형적인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구별하여야 한다. 청구권 규범과 요건상의 차이뿐만 아니라 제도의목적과 관련하여 징벌적 손해배상이 가해자의 악의적인 행위에 대한 처벌을 목적으로 한다면, 3배 배상은 위반행위의 억지와 보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점에서 결정적으로 차이가 있다. 이 점을 고려한다면 공정거래법상의 3배 배상제도도 법 위반행위의 억지와 보상을 목적으로 하여야 하며, 따라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서 요구되는 엄격한 요건을 다소 완화하는 것도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하도급법상의 3배 배상제도의 운영실적에서 비추어 과소집행의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제소자의 권리행사를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그 요건을 보다 명확하게 하는 것과 함께 판사의 재량권한을 삭제하고 배액 승수를 2배로 낮추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것이다. 더불어 3배 배상제도는 사적집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국가의 원고 자격을 제한하는 것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현재 국회에는 집행체계의 개선을 위한 공정거래법 전면개정안이 상정되어 있다. 이 개정안은 사인의 금지청구권을비롯하여 형사처벌 및 전속고발권 대상행위의 축소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사적집행제도의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내용을 담고 있다. 향후 개정안의 내용과함께 3배 배상제도가 활성화되어 공정거래질서가 확립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treble damage compensation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2019 Korean FairTrade Act. The treble damage compensation system,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the 2011 Subcontracting Act,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punitive damages systemin society. Currently, it is introduced and utilized in various laws such as the Lawon Subcontracting Law and Agency Act, as well as the laws of The Korean FairTrade Commission.
    Contrary to concerns at the time of introduction, however, the treble damagecompensation system under subcontracting law is very low. Despite the lowutilization of the system, whenever a socio-economic problem occurred due to thecompany’s immoral conduct, public opinion demanded the introduction of punitivedamages as one of the system improvements as well as strong punishment. Thegovernment responded by introducing a treble damage compensation system throughamendments to related laws. Despite these efforts,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trading practices of our subcontractors and distributors have been fundamentallyimproved, and the hard-provisioned systems are not being used properl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has introduced atreble damage compensation system that recognizes liability for damages within threetimes the damages suffered by victims for cartel and retaliation against unfair tradelaw. Long ago, discussions and attempts to introduce punitive damages into theKorean Fair Trade Act have come to fruition. However, there is a question ofwhether the treble damage compensation system under the current Korean Fair Trade Act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punitive damages system under US law.
    And the more fundamental question is whether the treble damage compensationsystem in our law can be regarded as a true punitive damages system.
    The treble damage compensation system under the Korean Fair Trade Act is animportant step forward for the expansion of private execution in our enforcementsystem that is too dependent on public execution. However, in the light of the USsituation, the treble damage compensation system under the Korean Fair Trade Act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typical punitive damages system. In addition todifferences in claims norms and requirements, punitive damages in relation to thepurpose of the system are intended to punish the offender’s malicious acts, whiletreble damage compensation is intended to deter and compensate for violations. Thereis a crucial difference.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e treble damage compensationsystem under the Korean Fair Trade Act should also be aimed at deterring andcompensating for violations of the law, and it may be positive to somewhat mitigatethe stringent requirements of punitive damages.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that the possibility of underexecution is very highas seen in the operation of the treble damage compensation system undersubcontracting law. To this end, alternatives would be to make the requirementsclearer to facilitate the exercise of the rights of the petitioner, to remove the judge’sdiscretionary power and to double the multiplier. In addition, since the treble damagecompensation system is closely related to private execution, the restriction of thestate’s manuscript qualific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Currently, the NationalAssembly proposes a comprehensive revision of the Korean Fair Trade Act toimprove the enforcement system. This amendment contains a significant change in theprivate enforcement system, which mainly focuses on exclusive complaint programand repairmen of criminal sanctions, including the right of injunction request byprivate person. It is hoped that the treble damage compensation system will beactivated along with the contents of the amendment to establish a fair trade 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