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남 화순 도장마을의 민요 전승과 밭노래마을 운영 실태 (Efforts to pass down folk songs and the operation of field song(song for dry-field farming) village business by Dojang village in Hwasun, Jeonnam)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2.12
38P 미리보기
전남 화순 도장마을의 민요 전승과 밭노래마을 운영 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36권 / 199 ~ 236페이지
    · 저자명 : 신은주

    초록

    화순군 도암면 도장리는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지역으로, 예로부터 밭농사를 중심으로 한 농경문화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무명밭이 많아 집집마다 베를 짜는 일이 매우 흔하였고, 이에 여성들이 밭을 매거나 베를 짜면서 부른 노동요 및 신세한탄요가 많이 존재하였다.
    도장 마을은 민요의 전승과 보존에 큰 관심을 가져, 마을민들이 스스로 1985년 무렵부터 민요 채록 작업을 실시하였고, 후속 세대들에게 민요를 전승하였으며,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민요 전승 및 보존과 관련한 사업들을 진행해오고 있다. 마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채록한 민요 자료는 부녀요가 79곡, 논농사요가 4곡, 상여소리가 7곡으로 총 90곡에 이른다. 이 중 16곡은 목화밭농사 재연 형태의 공연물로 구성되어, 마을 축제 및 전남도 여러 행사에서 두루 공연하고 있다.
    공연에 활용되고 있는 16곡을 중심으로 도장 마을 민요를 분석하면, 대부분의 곡들이 유사한 선율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신세한탄조의 느린 곡들은 3소박 5박자를 기본으로 한 유동적인 박자구조에, 육자백이토리로 선율이 구성된다. 빠른 템포의 곡들은 대부분 3소박 4박자의 박자구조를 갖고, 경토리 혹은 육자백이토리를 사용하는데, 동일 토리를 사용하는 곡들 간에 선율 및 리듬이 대체로 유사하다. 즉, 노랫말에 의하면 화순 도장마을에 전승되고 있는 민요 곡목은 매우 많지만, 음악적으로는 몇몇 곡조가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이와 같이 음악적으로 단순한 구조를 갖는 것은 향토민요로서 갖는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하겠다.
    도장마을은 민요의 채록과 전승뿐 아니라 민요를 매개로 하여 마을의 발전을 꾀하고 있다. 2010년부터 “밭노래마을”이라는 타이틀로 체험마을을 운영하고 있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운영하고 있는 체험 프로그램은 “계절별 농촌체험 / 역사문화체험 / 전통농사체험 / 생태환경체험 / 전통음식체험”의 다섯 가지이고, 역사문화체험의 하나로 민요 체험이 전개된다. 체험에 활용되는 민요는 비교적 템포가 빠르고 경쾌하며, 선율이 단순하고, 흥미로운 사설을 가진 곡을 대상으로 한다. 약 30분 정도의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는 체험이고, 체험에 참여한 이들은 한번 듣고 불러보는 정도가 전부지만, 민요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에 큰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민요 현장은 모두 사라진 지 오래고, 민요의 자연 전승은 불가능하다. 때문에 그간 사라지는 민요를 남기기 위한 채록 작업들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고, 민요를 전승하고 있는 일부 마을에서는 보존회가 꾸려졌으며,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이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해 왔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민요의 지속적인 전승을 바라기는 어렵다. 삶의 모습이 변한 만큼 민요의 기능도 변화해야 할 것이고, 이에 따라 또 다른 대응이 필요하다. 화순 도장 마을 주민들에 의해 진행되어 온 민요의 다양한 전승 형태는 그 한 모델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Dojang-ri in Doam-myeon, Hwasun-gun, Jeollanam-do is an area whose three sides are surrounded by mountains. As a result, dry-field farming has been the main industry from old days. Especially, cotton farming was popular and many people engaged in weaving. And there have been many work songs and songs of lamenting one’s life women sing while working in the field or weaving.
    Dojang village has made effort to pass down and preserve folk songs. The villagers started recording and documenting folk songs around 1985. They have also learned folk songs. And they make efforts to pass down and preserve folk songs, now.
    The folk songs the villagers documented are 90 songs in total, including 79 songs sung by women, 4 songs for rice farming, and 7 funeral songs.
    An analysis of 16 folk songs used for performance showed that most of the songs use repetition of similar melodies. Slow songs about women lamenting their life-especially their misfortune- have flexible beats based on five beats(One beat consists of 3 small beats) and Yukjabaegitori is used for the melody. Most of fast tempo songs have 4 beat structure(One beat consists of 3 small beats) and Gyeongtori or Yukjabaegi is used for the melody. And similar melodies and rhythms are used for these songs. In other words, the folk songs passed down in Dojang village in Hwasun have different lyrics but their melodies are similar.
    Dojang village has tried to develop the village through folk songs. It started village experience business under the title of "Field song village" in 2010. Folk song experience provided diff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 and it is mostly provided when a group of students visits the village. Each experience session lasts only for about 30 minutes and the students listen to folk songs and repeat after them. Even though the experience is brief and simple, it has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base of folk songs.
    The way people live today is very different from the way people lived in the past. As a result, folk songs have long lost their functions and they are disappearing. So, efforts have been made to preserve folk songs. Villages formed the societies to preserve folk song an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designated folk songs as cultural assets. However, these efforts are not enough to pass down folk songs to our descendents. The way people live has changed and accordingly the function of folk songs should change. Various efforts made by the people in Dojang village in Hwasun could be a model of passing down folk so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