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용지 색도 개선 연구: 색각이상 유권자 의 구분 가능성 향상과 한국표준색채정보를 따르는 개정안 제안 (Improving the Color of Paper Ballots in Nationwide Simultaneous Local Elections: Enhancing the Distinguishability of Color Anomalies and Proposing an Amendment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Color I)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2.05
17P 미리보기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용지 색도 개선 연구: 색각이상 유권자 의 구분 가능성 향상과 한국표준색채정보를 따르는 개정안 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5권 / 2호 / 245 ~ 261페이지
    · 저자명 : 이은정, 김민지, 최인규, 정의태

    초록

    연구배경 본 연구는 첫째,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용지 색도의 구분 가능성을 색약, 색맹 등 색각이상자의 관점 에서 향상시키고, 둘째, 현행 공직선거관리규칙 [별표2의2]가 한국표준색채정보를 따르도록 그 개정안을 제시하고 자 한다. 이는 지방선거 투표용지의 색도가 색각이상자들에게 효과적으로 구분되지 못한다는 점, 그리고 [별표2의 2]가 표준색명이 아닌 관습적 표현을 사용하여 색명을 규정함으로써 투표용지 색도의 구현에 혼란을 야기할 가능 성이 매우 크다는 점에 대한 문제의식에 기초한다.
    연구방법 구분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향상된 개선안을 제안하기 위해 총 세 차례의 실험조사를 수행하였다. 1차 실험에서는 색각이상자들로 구성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현행 투표용지의 문제를 확인하였으며, 2차 실험에서는 본 연구가 도출한 1차 결과물의 구분 가능성을 동일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3차 실험에서는 1차 결과 물의 취약점을 보완한 2차 결과물의 구분 가능성 및 선호도를 실험집단 및 비(非)색각이상자들로 구성된 통제집단 을 대상으로 최종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3차 실험의 결과, 본 연구가 최종적으로 도출한 2차 결과물이 현행 투표용지의 색도보다 색각이상자들 에게 더욱 쉽고 분명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차 결과물은 비색각이상자들에게도 유효했는데, 다 수에게서 구분 가능성과 선호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색각이상자들의 어려움에 대해 설명을 들은 통제집단 전원은, 즉 앞서 현행 투표용지를 더욱 선호한다고 답한 소수의 비색각이상자들까지 포함하여 모두가 2차 결과물 로의 변경에 동의할 의향이 강하게 있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다음의 측면들에서 의의를 지닌다. 첫째, 색각이상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조사를 수행하여 현 행 투표용지 색도의 문제를 실증하고 구분 가능성이 향상된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둘째, 개선안에 대한 비색각이상 자들의 선호도뿐만 아니라 동의 의향을 확인함으로써 사회적 합의의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셋째, 투표용지 색명을 국가기술표준원의 공공디자인 색채표준가이드에 따라 표기함으로써 관련 행위자들 간 의사소통과 투표용지 색도 관리를 더욱 정확하고 원활하게 하는 데 기여하였다.

    영어초록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distinguishability of the color of paper ballots in nationwide simultaneous local elections and proposes an amendment of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color information.
    The problems are that it is too hard for color anomalies to distinguish colors of paper ballots in local defines elections, and it is highly likely to confuse in realizing the colors because the color names as a customary expression, not a standard color name.
    Methods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propose an amendment that effectively improved distinguishability. In the first experiment, the problem of the current ballots’ color was identified for an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color anomalies.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distinguishability of the first proposed colors was verified for the identical experimental group. In the third experiment, the distinguishability and preference of the second proposed colors, which compensated for the defects of the first proposed colors, were finally evaluated not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but also for the control group composed of non-color anomali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third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second proposed colors were more easily and clearly distinguished by color anomalies than the current ballots, as well as effective for non-color anomalies, with higher distinguishability and preference in many. On the other hand, all in the control group who heard explanations about the difficulties of color anomalies, including a few who previously answered that they preferred the current ballots, responded that they were willing to agree to the change to the second proposed color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problem of the current ballots’ color was demonstrated and an amendment with improved distinguishability was derived by conducting a series of experiments on color anomalies. Second, the possibility of social consensus was examined by confirming the consent intention as well as the preference of the non- color anomalies for the amendment. Third, the study can contribute to more accurate and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related actors and management of the color of paper ballots by specifying the color name according to the color standard guide of the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