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집단 미술치료가 ADHD를 가진 발달장애대학생에 미치는 효과- 방과 후 비교과 직업 전 훈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Effects of Small Group Art Therapy on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with ADHD- With a Focus on the After-school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Pre-vocational Training Programs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7.12
23P 미리보기
소집단 미술치료가 ADHD를 가진 발달장애대학생에 미치는 효과- 방과 후 비교과 직업 전 훈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56권 / 4호 / 105 ~ 127페이지
    · 저자명 : 홍지경

    초록

    본 연구는 ADHD를 가진 발달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재학 중인 고등교육기관의 방과 후 비교과 직업 전 훈련프로그램으로서 시행되는 소집단 미술치료가 주의집중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발달장애대학생들이 참여하는 비교과 교육에 있어서 이들의 직업적응에 필요한 인성적 자질과 인지적 특성 등 실질적이고 기본적 요구사항을 개선하기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남 소재 N대학교의 재활자립학부 발달장애대학생들 중 ADHD를 가진 발달장애학생 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행동은 주의집중행동의 지시 따르기, 활동 수행하기, 순서 기다리기이며, 실험설계는 대상의 주의집중행동에 대하여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소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총 20회기로 구성되었고, 각각 도입(활동에 집중하기 위한 이완 및 활동 설명, 10분), 전개(활동 실시, 30분), 마무리(10분)로 총 50분간 진행한다. 그리고 발달장애대학생으로 구성된 전체집단을 12명으로 하여 각 4명씩 총 3개의 소집단으로 구분한 후, 각 소집단마다 연구대상을 1명씩 배정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 대상별로 차이는 있으나 세 명의 대상 모두에게서 주의집중행동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소집단 미술치료가 ADHD를 가진 발달장애대학생의 주의집중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 A의 경우 주의집중행동의 하위 항목 중 순서 기다리기 행동이 많이 향상되었고, 연구대상 B와 C의 경우에는 지시 따르기와 순서 기다리기 행동이 많이 향상되었다. 또한 연구대상 세 명 모두가 중재단계를 거치면서 지시 따르기, 활동 수행하기, 순서 기다리기의 행동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지단계에서도 중재단계에서 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all group art therapy on the college students having difficulty from development disability with ADHD inclination, especially when the therapy is used as a part of the after-school extracurriculum activity in pre-vocational training program at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these students currently attend to.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optimal direction towards which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disabled college students should head, as well as explore the actions that must be taken to develop the basic necessities these students are in need of, such as characters and cognitive qualities, and to assist them with vocational adjustment. To achieve such objectives, 3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ong with the ADHD inclination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from the College of Rehabilitation at N University in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The target behaviors for the subjects were attention behaviors, such as following instructions, performing tasks and waiting for turns. The experiments utilized multiple probe designs across the subjects, especially with regards to their attention behaviors, and followed the order of probe design,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small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20 sessions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research, and each session took place for 50 minutes (including 10 minutes of introduction where the activity is explained to students and relaxation takes place to allow them to focus on the activity, 30 minutes of execution, and 10 minutes of conclusion). The entire group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in total included 12 individuals in 3 groups of 4, with each group consisting of 1 subject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all 3 subjects of the experiment experienced an improvement in their attention behaviors, although their extent varied. Such results demonstrated the positive effects of small group art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is research, on the atten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ith ADHD inclinations; more specifically, subject A displayed an improved attention behavior in waiting for turns, and subjects B and C displayed an improved attention behavior in following instructions and waiting for turns. Through the intervention stage, all 3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ttention behaviors in following instructions, performing tasks and waiting for turns. In the maintenance stage, such behaviors were maintained at a lower level than in the intervention st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