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 민가 ‘챗방’의 정의와 근대적 특징에 관한 연구 - 김홍식의 1972~1984년 제주 민가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Definition and Modern Aspect of ‘Chat-bang’ in Jeju Traditional House - Based on Kim Hong-sik’s Jeju Traditional House Survey Data from 1972 to 1984 -)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5.03
10P 미리보기
제주 민가 ‘챗방’의 정의와 근대적 특징에 관한 연구 - 김홍식의 1972~1984년 제주 민가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36권 / 2호 / 121 ~ 130페이지
    · 저자명 : 도연정

    초록

    이 연구는 제주 민가의 독특한 공간요소로 주목되는 챗방의 정체를 규명하는 연구로서, 1972~84년에 걸쳐 김홍식 교수가 조사한 제주 민가 233채를 대상으로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챗방은 전체 약 25.3%의 사례에서 발견할 수 있었으며, 유형은 크게 툇마루형, 마루방형, 흙바닥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챗방이 지금까지 단순히 ‘식당’으로 알려져있던 선행연구의 결과를 크게 보완하는 해석으로서, 더욱이 챗방의 분포에 지역적 편차가 존재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주 동부(11.1%)보다 제주 서부(44.9%)에 챗방이 더욱 발달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쉽게 유교적 영향으로도 간주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제주 특유의 가사노동 방식과 여성의 노동량, 기후에서도 영향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능적으로 챗방은 상방(마루, 대청)보다는 정지(부엌)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공간적 분화로서도 상방보다는 정지에서 분화하였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공간은 ‘식당’이라고 가볍게 정의되기 보다는 다기능의 부엌부속 공간이 더 정확한 정의가 될 수 있다. 챗방은 정지와 상방 사이의 중간영역으로서, 가사노동의 동선을 간소화하려는 노력이 공간 구조에도 반영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이러한 점은 한국 주택의 근대화를 논할 때 특히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가사노동 공간의 전개에 있어서는 제주 민가가 육지 민가보다 더 빨리 공간적 합리화에 대응하였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제주 민가에서 챗방이 발달하게 된 것은, 유교 및 가족문화, 기후, 습생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하였을 것이나, 특히 제주 여성의 역할과의 밀접한 관련성도 깊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제주의 독특한 가족생활 및 노동 패턴이 주거공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챗방은 제주 민가의 특징이자 한국 부엌의 역사에서 중요한 요소로 주목되며, 가사노동 공간에 대한 배려가 요구되는 현대 주택 설계에도 그 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Chat-bang, a distinctive feature of traditional Jeju houses, through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233 surveyed houses from Professor Kim Hong-sik’s research (1972-1984).The findings reveal that Chat-bang was present in approximately 25.3% of cases and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oe-maru type(elevated wooden floor), Maru-bang type(wooden floor), and Heukbadak type(earthen floor). This classification refines existing definitions and highlights its structural diversity. A notable regional disparity was observed, with Chat-bang more common in the western area than in the east, potentially linked to differences in vernacular housing structures rather than Confucian influences. Functionally, Chat-bang was closely tied to Jeong-ji(a transitional kitchen area) rather than Sang-bang(the main living room), serving primarily as an auxiliary kitchen rather than a formal dining room. Its role as an intermediary space between the kitchen and main quarters suggests an effort to streamline household workflows, potentially indicating early modernization in Jeju housing.In conclusion, Chat-bang reflects Jeju’s unique domestic and labor patterns, particularly in relation to women’s roles. As a significant element in the history of Korean kitchens, its development warrants further interdisciplinary study to explore its broader socio-cultural impl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주거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