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부지방 신라 유적의 연구 및 조사현황과 성격 고찰-서울․경기․강원지역을 중심으로- (Temporal and spatial identity of Silla culture in middle districts -Centering around Seoul, Gyeonggi, Gangwon area(district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1.12
42P 미리보기
중부지방 신라 유적의 연구 및 조사현황과 성격 고찰-서울․경기․강원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36호 / 47 ~ 88페이지
    · 저자명 : 황보경

    초록

    이 글은 중부지방에서 이제까지 조사된 신라 유적과 유물의 연구 및 조사현황을 살펴보고, 과연 신라 문화의 성격은 무엇이며 어떻게 이해해야 되는지 알아보고자 마련하였다. 물론 현 단계에서 신라 문화가 어떤 것인지 정의 내리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이지만 지역별 조사 및 연구 성과를 통해 몇가지 특징을 알 수 있다.
    신라는 서울·경기지역보다 강원 특히 영동지역부터 영역화를 시도했고, 481년에 벌어졌던 니하에서의 전투가 계기가 된 듯하다. 그리고 6세기 초에 이르면 실직주와 하슬라주에 군주를 파견하여 실질적인 지배를 이루게 된다. 이와 관련된 유적으로는 강릉 초당동·병산동 고분군과 강릉 강문동·병산동 주거지이다. 특히 고분은 5세기로 접어들면서 강릉 여러 곳에 중형급의 석곽묘가 조성되기 시작하고, 장신구류와 마구류 등 수장층이 사용한 유물들이 부장되었다. 또한 부장된 토기들은 경주 중심의 신라 토기들과 일부는 창녕 및 의성지역 토기들도 출토되고 있다. 6세기 이후에는 횡혈식 석실분이 등장하고, 석곽묘는 상대적으로 작아지며 부장품의 양도 적어진다. 이는 신라의 직접 지배에 따른 현상으로도 풀이된다. 성곽은 영서지역에서는 춘천 봉의산성이, 영동에서는 강릉 명주산성과 방내리성, 우계산성이 주목된다. 또 정선 송계리와 고성리 산성도 교통로 장악과 관련하여 5~6세기에 축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경기지역은 6세기 중반경에 영역화가 이루어졌는데, 553년 신주 설치와 555년 진흥왕의 북한산 순행이 그것이다. 주요 유적으로는 하남 이성산성을 비롯한 이천 설봉산성, 안성 죽주산성, 평택 자미산성, 여주 파사성 등이 대표적이고, 서울 아차산성이나 호암산성, 포천 반월산성, 남양주 퇴뫼·불암산성 등은 점령시기가 다소 늦은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들 성곽에서는 성곽 이름을 알 수 있는 명문 기와나 목간 자료가 확보되기도 했으며, 건물지와 저수시설, 문지 등이 조사되었다. 고분은 용인 보정동과 여주 상리·매룡리·하거리, 하남 덕풍동·금암산·객산, 서울 아차·용마산 등에 조성되었고, 종류는 횡혈식·횡구식 석실분, 석곽묘 등이 있다. 그리고 파주 성동리와 여주 매룡리 고분에서는 금동관이 출토되어 지방 지배자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주거지는 포천 성동리 유적과 용인 마북동 유적이 6C중~후반경에 형성되고, 이천 갈산동이나 용인 영덕동, 평택 도일동, 화성 청계리 등은 그보다 늦은 시기에 들어서게 된다. 주거지들의 입지는 평지와 구릉지대로 나눠지고 구들의 구조와 출토 유물을 바탕으로 시기구분도 가능하여 신라인들의 거주 영역 확대과정을 유추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영어초록

    After examining the fruit of study all the time and the current excavation condition, I looked into the identity of Silla culture in middle districts based on feature of each relics and ruins. But at the present stage, it is hard to deal with identity of Silla culture. But I could know several features through the fruit of study and regional investigation.
    Silla tried territorialization from Gwangwon especially Youngdong rather than Seoul, Gyeonggi. As the result of the action it seemed to be the war in Niha. And at the beginning 6 century Silla dispatched a monarch to Siljikju, Hasllaju so they ruled substantially those areas. As the remains related to these facts, there were ancient tombs in Gangneung Chodang-dong, Byeongsan-dong and there were dwelling sites in Gangneung Gangmun-dong, Byeongsa-dong. Especially an ancient tomb started to make middle-sized stoned tombs since the beginning of 5 centurys in several places of Gangneung, and remains which were used by leaders such like personal ornaments and harness ornaments etc. were buried together. Also burial earthenware were Silla earthenware centering around Gyeongju and earthenware in Changnyeong and Uiseong area. After 6 centuries Stone chamber with tunnel entrance appeared, and stoned tombs relatively became small and the amount of burial things in the tomb together decreased. This means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direct rule of Silla. As the castle wall, Chuncheun Bongui Sanseong(mountain fortress wall) in Youngse area is noticed and in Youngdong area Gangneung Myeongju Sanseong(mountain fortress wall) and Bangnaeriseong, Ugaesaseong are noticed. And in relation to the rule of traffic routes Jeongsen Songgaeri and Goseongri Sanseong were built in 5~6 centur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erritorialization was realized in the middle of 6 centuries. We can know thi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inju in 553 and Jinheung king's patrol to Bukhan mountain in 555. As the major remains, Iseong Sanseong in Hanam, Serbong Sanseong in Icheon, Juckju Sanseong in Anseong, Jami Sanseong in Pyeongtaek and Pasa Seng in Yeoju are typical. The other Sanseong such like Seoul Acha Sanseong, Hoam Sanseong, Pochen Banwol Sanseong, Nanyangju Toemoi·Bulam Sanseong seemed to be occupied late. In these castle walls we could get Myeongmun roofing tile which could know the name of castle wall or Mockgan data. The site of the building and the facility of reservoir water were examined. The acient tombs were formed in Youngin Bojeong-dong, Yeoju Sangri·Maerongri·Hageri, Hanam Duckpung-dong·Kumamsan·Gaeksan, Seoul Achasan·Youngmasan etc. The kinds of ancient tombs were tunnel entrance style·lateral opening style stone chamber, stone lined tombs etc. And in ancient tombs of Paju Seongdong-Ri, Yeoju Maeroung-Ri, there were gilt bronze crowns so we could find the entity of the area's ruler.
    The dwelling site was formed in Pocheon Seongdong-Ri, Youngin Mabuck-Dong in the middle and latter of 6 centuries. After that, Icheon Galsan-Dong or Youngin Youngduck-Dong, Pyeongtaek Doil-Dong formed the dwelling site. The location of the dwelling site divided into flat lands and hilly districts.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an ondol and artifacts we could divided the period and we could analogize extension stage of dwelling(residential) area in Silla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