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한림전>에 나타난 젠더 문제의 맥락 연구 -‘남성 만들기’의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xt of Gender Issues in Banghanlim-jeon: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Making Me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2.02
32P 미리보기
&lt;방한림전&gt;에 나타난 젠더 문제의 맥락 연구 -‘남성 만들기’의 관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56호 / 163 ~ 194페이지
    · 저자명 : 조홍윤

    초록

    이 연구는 〈방한림전〉에 나타난 방관주의 남장이 외부적 영향에 의한 ‘남자 만들기’의 결과일 가능성을 고려하여, 이로부터 추동된 방관주의 서사가 어떠한 젠더 문제를 함의하게 되는지 구명해보고자 한 것이다. 애초 방관주는 그녀가 남아이길 원했던 부모의 은근한 욕망에 반응하여 남성으로서의 젠더 정체성을 발현하였을 가능성이 있고, 부모를 상실한 후 그러한 젠더 정체성이 화석화됨으로써 남자로서의 이상적 삶의 완성에 몰두하게 되었을 수 있다. 이에 방관주가 남성의 옷을 입고 입신양명과 가문의 부흥에 매진한 것도 그처럼 완전한 남성의 서사를 만들어가기 위함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일견 성공적인 그녀의 삶이었으나 그녀의 내면은 긴장과 불안, 고통으로 점철되어 있었다. 남성으로서의 젠더 정체성, 타고난 여성의 신체, 길항하는 이중의 정체성으로 인해 완전한 남성도 여성도 될 수 없었던 그녀는 끝없는 내적 갈등에 시달려야 했던 것이다. 그와 같은 방관주의 형상은 당대의 특수 사례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억압적인 젠더 규범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상황에서 언제 어디서든 만들어질 수 있는 인간사의 비극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당대의 향유자들은 물론 현재의 우리에게도 개인의 젠더 정체성이란 결코 강요될 수 없고 강요되어서도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anggwanjoo’s transvestism in Banghanlim-jeon as “man-making” by external influences, and to investigate the gender issues implied by her narrative. In the beginning, Banggwanjoo observed that she expressed her male gender identity in response to her parents’ subtle desire for her to be a man. After losing her parents, her gender identity became fossilized, leading to her immersion in her ideal life as a man. The reason Banggwanjoo wore men’s clothes and devoted herself to the revival of the family, was to create a perfect man’s narrative. At first glance, her life appeared successful; however, her inner self was filled with tension, anxiety, and pain. She was unable to become a perfect man or woman because of her dual identity: her gender identity as a male, and her natural female body, which she did not choose. Such a figuration of Banggwanjoo is not only meaningful in her own space-time, but embodies a tragedy of human life, that occur at any time and place where oppressive gender norms are excessively appl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