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빛공해 저감을 위한 원격탐사 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빛 방사량 변화양상 모니터링 (Monitoring NightLight Emission Changes in Seoul Using Satellite NightLight Data to Mitigate Light Pollutio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8.12
14P 미리보기
빛공해 저감을 위한 원격탐사 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빛 방사량 변화양상 모니터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6호 / 165 ~ 178페이지
    · 저자명 : 김정아, 천상현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과도한 인공조명의 사용은 생태계와 도시민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공해의 한 형태인 빛공해로 인식되고 있다. 환경부는 빛공해 방지법 제정을 시작으로 빛공해 피해 방지를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빛공해 관리를 위한 자료수집에 있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속적인 빛공해 관리를 위하여 도시 전역 차원에서의 빛공해 변화를 고찰하고 수치화할 수 있는 빛공해 진단 방법의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전역에 대해 빛 방사량 현황과 변화양상을 정량적으로 진단하고 각 지역의 빛 방사량 과도지역 및 빛 방사량 증감현상의 지역적 특징을 판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치적으로 빛 방사량을 진단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한다. 이를 활용하여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시 전역의 정량적 빛 방사량 현황 및 변화 양상을 파악한다. 또한, Getis Ord Gi* 통계량을 사용하여 서울시 빛공해 핫 스팟 지역을 도출하고 행정구역 별 변화를 고찰한 후, 빛공해 증감이 뚜렷한 지역들의 특징을 파악한다. (결과) 서울시 빛 방사량 지도에 기초한 결과, 지난 4년여 동안 서울시 총 빛 방사량은 약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구산-역촌-녹번-응암-수색-가좌의 은평구 일대, 목동-일상 일대, 신길-신대방-신림-서울대 일대, 기존 중심지인 강남-압구정-청담 및 논현-선릉 지역에서 벨트를 형성하며 빛 방사량이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그러나, 홍대-이태원-종로 등 활성화된 상권 지역과 마곡지구-세곡지구 등 신규 개발 지역을 중심으로 빛 방사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빛공해 관리를 위해 지속적이고 경제적인 방법론을 제안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최근 중요한 환경문제로 언급되고 있는 빛공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이는 정책적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빛공해 유발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도출함으로써 현재 서울시에서 시행중인 ‘빛공해 관리방안’ 및 현재 용도지역을 기반으로 3~4종으로 운영되고 있는 조명관리지역의 지정기준을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Excessive artificial nightlight is considered a pollutant that adversely affects human health and ecosystems. Since the enactment of the Light Pollution Prevention Law in Korea,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made efforts to monitor exposure to night pollution and mitigate its damage. Monitoring nightlight emission levels and night pollution damage takes a substantial amount of time and effort in collecting data that are useful for designing light pollution mitigation policies. Various methods for diagnosing light pollution must be developed to manage and control light pollution effectively. In particular, the monitoring of light pollution in urban space is crucial since urban areas are night pollution hotspo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light emission levels and systematically and quantitatively identify changing patterns in Seoul. This study also evaluates local characteristics of sub regions in Seoul that show rapid changes in their nightlight emission levels. (Method) This study uses satellite nightlight data to quantify and measure urban light emission levels from 2012 to 2016. We use the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VIIRS) and Day and Night Band (DNB) data from the Earth Ovsercation Group (EOG) of th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We create yearly composite data to calculate the light intensity of Seoul to evaluate the city’s light pollution status and change patterns. We also use Getis- Ord-Gi* statistics to identify nightlight hotspot area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total nightlight emission amounts in Seoul slightly decreased between 2012 and 2016 due to reductions in the following areas: (1) the Gusan-Yeokchon-Nokbeon-Eungam-Susaek-Gajwa areas in the Eunpyeong District, (2) the Mokdong-Ilsang areas, (3) the Singil-Sindaebang-Sillim-Seoul National University areas, and (4) aged business districts in the Gangnam areas: Gangnam-Apgujeong-Cheongdam-Nonhyeon-Seolleung areas. The proportion of highly polluted urban spaces has increased over time due to two main reasons: (1) the development of existing and new commercial areas (e.g., Hongdae, Itaewon, Jong-ro) and (2) new urban land development projects organized for mass housing-supply projects (e.g., Magok and Segok distric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evidence for current nightlight emission changes in Seoul and methodologies to monitor light emissions and manage light pollution. Finally, this study can also be used to supplement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of the current four categories of lighting management z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1) present methodologies to monitor nightlight emissions at a macro urban scale; (2) provide basic understanding and evidence for current and changing nightlight emission patterns; and (3) identify areas that have a high probability of light pollution expos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전